|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1(1); 1998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8;41(1): 113-116.
Myoepithelioma of Salivary Gland: Report of 2 Cases.
Sung Hoon Kang, Sung Wan Kim, Jong Man Kang, Kwang Il Kim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KangNam General Hospital, Public Corporation, Seoul, Korea.
타액선에서 발생한 근상피종 2례
강성훈 · 김성완 · 강종만 · 김광일
지방공사 강남병원 이비인후과
주제어: 근상피종.
ABSTRACT
Myoepithelioma is a rare tumor that occurs most frequently in the parotid gland, the palate, and the breasts, although it has also been found in the submandibular gland, the lips, the gingiva, the lacrimal gland, the cheeks, and the external auditory canal. Of all the salivary gland tumors, myoepithelioma accounts for less than 1% of the total. Clinically, myoepithelioma resembles mixed tumors in its appearance and growth pattern. However, a malignant variant of this tumor is extremely unusual. The most common treatment for myoeithelioma is the conservative excision which usually accompany a marginal amount of uninvolved tissue. In this study, we report two cases of myoepithelioma, a parotid gland tumor and a submandibular gland tumor. Histologic features showed that the former was composed of hyaline cells and the latter was composed of spindle cells.
Keywords: MyoepitheliomaSalivary gland
서론 상피종은 선조직의 근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타액선1)에서 주로 발생하나 유방2)이나 누선3) 등에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타액선에서 발생하는 근상피종은 전체 타액선 종양의 1%이하로 국내에서는 이 등4)이 2례 보고한 바 있으나 외국에서는 상당수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최근 이하선과 악하선에서 발생한 근상피종 2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증례 1: 환자:서O은, 남자, 74세. 초진일:1996년 11월 25일. 주소:경부 종물. 현병력:95년 6월 우연히 좌측 경부 종물이 촉진되어 타 병원 방문하였고, 세침흡입검사상 혼합종으로 나타나 수술을 권유 받았으나 그냥 지내던 중, 96년 11월 수술하기 위하여 본원에 방문하였다. 과거력 및 가족력:특이사항은 없었다. 이학적 소견:좌측 악하삼각부에 3×2 cm크기의 무통성의 단단하며 유동성이 있는 타원형의 종물이 촉진되었다. 방사선 소견:경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좌측 악하선내에 종괴가 관찰되었는데, 주변부에서는 약하게 조영증강을 보이며 중앙부에서는 저음영을 보였다(Fig. 1). 수술 소견 및 술후 경과:96년 12월 16일 전신마취하에서 좌측 악하선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별다른 문제는 없었고, 술후 7일째 발사후 퇴원하였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육안적 소견상 악하선 내에 2×1.7 ×1.5 cm 크기의 피막에 의해 잘 둘러싸여있는 단단한 종물이 관찰되었다. 절단소견은 회백색을 보였고, 내부에 소량의 회색 액체가 있었다(Fig. 2). 광학현미경 소견에서는 양극성의 세포들이 bundle처럼 배열되어 있었고, 선조직이나 chondroid matrix는 보이지 않았다(Fig. 3). 증례 2: 환자:고O남, 남자, 53세. 초진일:1996년 10월 1일. 주소:좌측 이하부 종물. 현병력:2년전 우연히 좌측 이하부 종물이 촉진되었으나 그냥 지내던 중 종물이 점점 커져 96년 10월 본원에 방문하였다. 초음파 검사상 이하선의 종물을 보였고, 세침흡입검사상 혼합종으로 나타나 수술을 권유 받고 입원하였다. 과거력 및 가족력:특이사항은 없었다. 이학적 소견:좌측 이하부에 3×3 cm 크기의 무통성의 단단하며 유동성이 있는 종물이 촉진되었다. 안면신경마비는 없었고, 그외 특이 소견은 없었다. 방사선 소견:경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좌측 이하선 천엽에 종괴가 관찰되었는데, 약하게 조영증강을 보이며 주변부와는 경계가 명확하지 않았다(Fig. 4). 수술 소견 및 술후 경과:96년 10월 22일 전신마취하에서 좌측 이하선 천엽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좌측 안면신경의 하악분지의 마비가 있어 steroid를 투여하였으며, 술후 4일째 시행한 신경전도검사(ENoG)는 좌측의 가중전압이 우측에 비해 64%를 보였다. 술후 7일째 발사후 퇴원하였고, 안면신경마비는 2개월후 완전 회복되었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육안적 소견상 이하선내에 2.2×2.8 ×1.5 cm 크기의 피막에 의해 잘 둘러싸여는 단단한 종물이 관찰되었다. 절단소견은 회백색의 균질한 종괴를 보였다(Fig. 5). 광학현미경 소견에서는 세포질은 hyaline처럼 보이며 세포핵은 한쪽으로 치우친 eccentric한 양상을 보였고, 선조직이나 chondroid matrix는 보이지 않았다(Fig. 6). 고찰 근 상피종은 선조직의 근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정상 근상피세포는 타액선의 선포상피(acinar epithelium)와 관상피(ductal epithelium)아래에 놓여있으며, actin filaments와 cytokeratin polypeptide를 가지고 있어 수축할 수 있다(Fig. 7).5)6) 발생빈도는 국내에서는 이 등4)이 소타액선 종양 83례중 2례가 근상피종이라고 보고한 바 있으며, 외국에서는 다수 보고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전체 타액선 종양의 1%이하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그러나 실제의 빈도는 이보다 높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에 대해 Dardick5)는 근상피종의 전체 세포변형(full range of cellular modification)이 최근에 밝혀지기 시작하였고, 일부의 근상피종이 특징적인 혼합종양의 spectrum내에 포함되거나 혼합종양으로 잘못 진단되는 등의 이유를 들었다. 발생장소는 이하선이 50%로 가장 많고, 그외 구개, 유방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드물게 누선이나 구순, 악하선, 협부, 치은, 비강, 외이도 등1)2)3)8)에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근상피종의 분류에 대해서는 아직 저자마다 차이가 있어 일치된 견해가 없다. Dardick5)는 조직학적인 형태에 따라 두가지 방법으로 분류 하였는데, architectural pattern에 따른 분류에서는 solid type이 가장 많았고, cellular differentiation에 따른 분류에서는 epithelial cell type이 가장 많았다(Table 1). 저자의 경우 증례 1은 악하선에 발생한 spindle cell type의 근상피종이었고, 증례 2는 이하선에 발생한 hyaline cell type의 근상 피종이었다. 임상적으로는 혼합종과 비슷하여 대부분 서서히 자라는 무통성의 종괴로 나타나는데, 악성화는 극히 드물고 안면신경마비나 괴양을 일으키지 않는다. 진단은 병리조직검사로 하는데, 혼합종과의 감별은 chondroid matrix가 없어야 하며 관(duct)이 5%이하 이어야 한다. 그외 감별해야할 것으로 신경초종, 육종, 방추상 세포육종 등이 있다. 치료는 수술적 적출법이며 종양이 없는 정상조직을 포함하여 적출하여야 한다.1) 재발율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은데, Sciubba 등1)은 16례중 1례에서 재발하였다고 보고 하였다.
REFERENCES
1) Sciubba JJ, Brannon RB. Myoepithelioma of salivary glands. Cancer 1982;49:562-72. 2) Tavassoli FA. Myoepithelial lesions of the breast. Am J Surg Pathol 1991;15:554-68. 3) Heathcote JG, Hurwitz JJ, Dardick I. A spindle-cell myoepithelioma of the lacrimal gland. Arch Ophthalmol 1990;108:1135-9. 4) Lee GH, Park CG, Lee YS, et al. Minor salivary gland tumors: A clinical study of 83 cases. Korean J Otolaryngol 1995;38(5):752-62. 5) Dardick I, Thomas MJ, Peter AW. Myoepithelioma-New concepts of histology and classification: A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study. Ultrastructural Pathology 1989;13:187-224. 6) John GB. Pathology consultation: Myoepithelioma. Ann Otol Rhinol Laryngol 1985;94:523-4. 7) Luna MA. Pathology of tumors of the salivary glands. In: Batsakis JG, Thawley SE, Panje WR. Compressive management of head and neck tumors vol 2.: W.B.Saunders comp;1987. p.1066-967. 8) Emina T, Elizabeth DA, Carlos M, Michael WS. Benign and malignant neoplasms of myoepithelial cells: Cytologic findings. Diagnostic Cytopathology 1993;9:655-60.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