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3(9); 2000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0;43(9): 942-945.
Effects of External Nasal Dilators on Nasal Respiration and Patency in Patients with Deformity of the Nasal Septum by Mladina ClaSSIFICATION: An Acoustic Rhinometric Study.
Soon Kwan Hong, Hye Jin Yoon, Chong Nahm Kim, Chun Dong Kim, Sung Wan Byun, Yun Joung Kim, Jee Yun Kim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soonkwan@unitel.co.kr
외비확장구가 비중격기형 유형간 비호흡 및 비개존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홍순관 · 윤혜진 · 김종남 · 김춘동 · 변성완 · 김윤정 · 김지연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주제어: 비중격 기형비판Mladina 분류외비확장구비호흡비개존성음향비강통기도 검사.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external nasal dilator (END) was designed to improve nasal respiration by expanding the nasal valve area and authors have proven in previous reports that the END improves nasal respiration and patency in patient with DSN.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assess the different effects of the END on nasal respiration and patency in DSN patients with dysfunction of the nasal valve area and in those with dysfunction of some other areas.
MATERIALS AND METHODS:
Fourty-six male patients (ages 18-49, average age 31.5) without any other nasal or sinus disease and who are not classified as Mladina types 1, 4 or 7 were used as subjects. The type of DSN was determined by Mladina classification. Those with dysfunction of the nasal valve area (Type 2) were classited as Group A and those with dysfunction of some other anatomical area as Group B (Type 3, 5, 6). The subjective sensation of nasal respiration, averag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MCA) and nasal volume (V5: nasal volume from 0-5 cm) of all subjects were assess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an END.
RESULTS:
Subjective sensation of nasal respiration, MCA and V, improved sign ificantly in both groups after the application of an END,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Although an F,ND significantly improves nasal respiration and patency, this effect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with dysfunction of the nasal valve area and those with dysfunction of some other anatomical areas. This is because ENDs equally affect all Types of septal deformity.

서     론


   외비확장구는 기계적으로 비판 부위를 확장시킴으로써 비호흡을 개선시키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비판부위에 비중격기형이 있는 환자에서 외비확장구를 사용하면 비판부위가 확장되어 호흡기류에 대한 비저항이 감소하여 비호흡능력이 개선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들은 정상 성인에서와 비중격기형환자와 코골음 또는 수면무호흡 환자에서의 외비확장구의 효과를 보고한 바 있다.1-3)
   이러한 연구의 연속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비중격기형 환자를 비판부위에 기형이 있는 유형과 비판을 제외한 다른 부위에 기형이 있는 유형으로 분류하여 두 군에서 외비확장구의 효과를 조사하려는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  상
  
1998년 1월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이비인후과에 비폐색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병력, 비강의 이학적 검사 및 내시경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상 다른 비강 및 부비동 질환이 없이 비중격기형을 가진 남자 환자 중 비판기능 장애가 없는 Mladina 1형 및 혼합형인 4, 7형을 제외하였고, 3, 5, 6형의 경우도 dorsal septal deformity가 있는 경우는 제외한 46명의 환자(연령 18~49세 평균 31.5세)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최근 3개월 내 항히스타민제, 비점막혈관수축제, 스테로이드제 등의 약물 투약 병력이 없고 단순 부비동 X-선 검사 소견이 정상인 비흡연 환자들이었다.

방  법

   비중격 유형의 분류는 1차적으로 외래에서 비폐색을 주소로 온 환자의 경우 nasal speculum을 이용해 검사 한후, nasal mucosa를 shrinkage시켜 0° endoscopic exam을 이용해 dorsal septal deformity도 확인하여 분류하였고, 이와 같은 과정을 3명의 검사자가 관찰하여 2명 이상의 검사자가 일치하는 형으로 분류하고 3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재검하였다.
   비중격 만곡의 기형은 Mladina의 분류5)에 따라 구분 하였다. 이중 비판부위에 주된 장애가 있는 유형(2형)을 A군으로, 비판부위보다는 다른 부위의 기능에 장애가 있는 유형(3, 5, 6형)을 B군으로 분류하였다.
   외비확장구(Breathe Right Nasal Strips;CNS, Inc, Chanhassen, MN) 착용 전과 착용 5분 후에 비호흡에 대한 주관적 느낌 및 음향비강 통기도 검사상의 비강 최소 단면적(minimal cross-sectional area, 이하 MCA라 함), 비공으로부터 후방 5 cm까지의 비강용적(이하 V 5라 함)을 구하였다. 피부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알콜솜으로 콧등을 깨끗하게 닦고 잘 말린 뒤 외비확장구 하연이 비익주름에 놓이도록 붙였다.1)
   비호흡에 대한 주관적 느낌은 quiet inspiration 상태에서 외비확장구를 작용 전과 후를 비교하여 100 mm visual analog scale(이하 VAS라 함)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종이에 그려진 100 mm 선을 피검자에게 보여주고 비호흡의 편안함을 느끼는 정도에 따라 0 mm는 완전히 코가 막힌 상태, 100 mm는 막히지 않은 상태라고 피검자에게 상상케 한 후 피검자의 비호흡 느낌을 직접 연필로 100 mm 선상에 표시하게 한 다음 0 mm에서 그 표시점까지의 거리를 자로 측정함으로써 구하였고, 단위는 편의상 mm대신에 점으로 나타내었다.1)
   음향 비강 통기도 검사는 Eccovision Acoustic Rhino-meter(Model AR-1003, Hood Laboratories, Pembroke, MA)를 이용하여, 피검자를 편안한 상태에서 의자에 바르게 앉게 하고 피검자의 몸과 nosepiece의 장축이 약 15도 정도를 유지하게 한 후 호흡을 멈춘 상태에서 검사하였다. Nosepiece를 비전정부에 밀착하되 비전정부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특히 외비확장구 착용후 ant. nares가 넓어질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4개의 nosepiece 중 비전정부에 잘 밀착되는 것으로 선택한 후 주의하며 측정하였다. 비강의 협측 및 광측의 MCA와 V5를 각각 측정하여 구한 후 양측의 합을 구하였다.1)
   100 mm VAS로 구한 비호흡의 주관적 느낌, 음향비강통기도 검사로 구한 MCA와 V5 이상 3가지 변수에 대하여 외비확장구 착용 전과 착용 5분 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지를 알기 위하여 5% 유의수준에서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통계분석을 A군과 B군에서 각각 시행하였고 3가지 변수의 변화 정도에 있어서 A군과 B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서는 Mann-Whitney Test로 검사하였다.

결     과


비호흡에 대한 주관적 느낌

   외비확장구 착용 전에 A군에서는 42.8±26.0점과 B군에서는 45.6±23.2점, 착용후에는 A군에서는 59.6±26.6점, B군에서는 60.5±20.9점으로 A군은 16.8±20.5점, B군은 14.9±11.7점만큼 개선되었다. 이 착용전후의 차이는 각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Table 1). 그러나 그 개선된 정도에 있어서는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Mann-Whitney Test).

음향비강통기도 검사 상의 MCA와 V5
  
MCA의 값은 A군에서는 착용 전 0.97±0.24 cm2, 착용 후 1.13±0.32 cm2으로 0.17±0.27 cm2만큼 증가하여 약 19.9%의 증가율을 보였다. B군에서는 착용 전 1.14±0.25 cm2, 착용 후 1.33±0.29 cm2으로 0.19±0.18 cm2만큼 증가하여 약 18.2%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 착용전후의 차이는 A군과 B군 각각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Table 1). 그러나 개선된 정도에 있어서는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Mann-Whitney Test).
   V5의 값은 A군에서는 착용 전 10.61±2.23 cm3, 착용 후 12.39±3.13 cm3으로 1.78±1.93 cm3만큼 증가하여 약 17.3%의 증가율을 보였다. B군에서는 착용 전 9.56±1.49 cm3, 착용 후 10.55±2.11 cm3으로 0.99±1.49 cm3만큼 증가하여 약 10.7%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 착용전후의 차이는 A군과 B군 각각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Table 1). V5의 증가된 정도는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Mann-Whitney Test).

고     찰


   본 저자들은 정상 한국성인과 비중격기형 환자에 있어서 외비확장구는 비호흡의 주관적 느낌을 유의하게 개선시키고 비강의 최소 단면적 및 그 용적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나 비호흡의 개선정도와 비개존성의 변화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고하였다.1)2)
   비중격은 출생시에는 정상적으로 정중선에 위치하나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어느 한편으로 만곡되거나 또는 불규칙하게 돌출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비중격은 반듯한 모양은 드물고 여러 원인에 의해 다소 굽어 있는 모양을 보이는 것이 보통이며, 그 기형으로 인해 증상을 유발하거나 기능적 장애를 일으킬 때 병적이라고 표현한다. 비중격 만곡증의 발현빈도는 인종과 보고자에 따라 차이가 많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남자 79%, 여자 68%로 남자에 많고 남녀 다 같이 좌측 만곡이 많다.4)
   만곡의 분류는 골성만곡, 연골성만곡, 상부만곡, 하부만곡, C-자상만곡, S-자상만곡등 형태와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하고 있다.
   1987년 Mladina는 비중격기형을 7가지로 분류하였다.5) 1-4형은 전후의 모양으로 분류하여 수직형이라 하였고, 5와 6형은 상하의 모양으로 분류하여 수평형이라 하였으며, 7형은 1-6형의 혼합형으로 분류하였다(Fig. 1).
   1형은 비판구역에 수직으로 비중격 만곡이 있으면서 비판의 정상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다. 2형은 비판 구역에서 수직으로 비중격 만곡이 있는 것이고 정상 비판기능에 장애를 주는 것이다. 3형은 중비갑개의 두부 주위에서 수직으로 비중격 만곡이 있는 것이다. 4형은 양측에 수직의 비중격 만곡이 있는 것이고 한쪽에는 비판구역에서 다른 한쪽에는 반대측 중비갑개의 두부 부근에는 만곡이 있는 것으로 이는 2, 3형의 혼합형이다. 5형은 고대의 터키 칼 모양과 흡사하게 보이는 것으로 편측 비중격에 기저부릉이 있지만 반대편 비중격은 편평한 것이 특징이다. 6형은 특징적으로 편측에 수평으로 홈이 비중격의 앞쪽과 기저부에 있는 것이다. 홈은 구개골의 비중격 모서리와 상악골 간의 비후된 익 사이에 놓여있다. 반대쪽 비중격에서는 홈에 대응하는 부분에 기저릉이 보인다. 좌우측 비강에서 비층의 높이는 항상 비대칭적이다. 7형은 매우 다양하다.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어 늘 모양이 이상하다.
   비중격 유형에 따른 빈도는 인종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3형 혹은 1형이 많고 다음으로는 2형이 많다고 하였다.5)
   비판은 비강의 전정부에 전체 비강내에서 저항이 가장 큰 부위로 외비의 외측비연골과 하비갑개 전단부, 그 내측의 비중격으로 이루어진 삼차원적 구조의 비강내 기도로 휴식시에 전 호흡 저항의 반을 담당하는 부위이다.1)2)
   외비확장구는 비판 부위를 확장시키므로써 호흡을 개선시키고자 개발되었다.6) 외비확장구의 원리는, 그 끈적거리는 내면이 콧등의 피부에 부착되고 외측의 탄력있는 플라스틱 조각이 펴지려고 하므로써 기계적으로 비판 부위를 확장시킨다는 것이다.7)8)
   Roithman등의 연구에 의하면,7) 외비확장구는 제 1 및 제 2 절흔의 단면적, 비공에서 4 cm까지의 비강용적을 증가시키므로써, 주로 비강의 앞부위, 특히 비판 부위를 넓게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Ng등의 연구를 보면,9) 외비확장구를 착용한 경우 비판 부위에 해당하는 단면적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1998년 Roithman에 의하면,10) 외비확장구는 비판부위의 폐색이 있는 비중격 만곡증 환자의 비수술적인 접근방법으로 유용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중격기형 중 비판 기능에 주된 장애가 있는 유형과 그렇지 않은 유형간에는 외비확장구의 개선 효과의 정도가 같지는 않을 것이라는 가설하에 두 유형간 비호흡 및 비개존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비판부위에 기형이 있는 2형을 A군으로, 비판부위 보다는 다른 부위의 기능에 장애가 있는 유형 3, 5, 6형을 B군으로 하여 외비확장구 착용 전후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비호흡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은 각 군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나 A군과 B군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음향비강통기도 검사에서 MCA와 V 5에서도 각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각군에서의 MCA와 V5의 유의한 차이는 이전의 다른 연구2)에서와 같은 결과였다. A군에 MCA를 증가시키는 정도가 19.9%로 B군에의 18.2% 보다 컸고, V5를 증가 시키는 정도가 17.3%로 B군에서 10.7%보다 컸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외비확장구의 효과는 양측에서 동등하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에 대한 해석으로는, 외비확장구는 비판부위가 좁아진 경우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비중격 기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결론 지을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여자 환자에 대한 검증이 시행되지 않았는데 이는 후에 연구되어져야 할 과제로 사료된다.

결     론


   외비확장구는 비판부위가 좁아져서 생기는 비폐색시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외비확장구는 각 군에서 비호흡의 주관적 느낌을 개선시키고 비강의 최소단면적 및 그 용적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비판부위에 기형이 있는 군과 없는 군사이에서는 외비확장구가 비호흡의 주관적느낌, MCA, V5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외비확장구가 비판부위가 좁아진 경우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비중격 기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결론 지을 수 있다.


REFERENCES
  1. Hong SK, Choi MS, Kim CD, Byun SW, Park SI, Lee JY, et al. Effects of the external nasal dilators on nasal respiration and patency in healthy Korean adult: An acoustic rhinometric study. Korean J Otolaryngol 1998;41:1426-30.

  2. Hong SK, Kim YJ, Kim CN, Chung SM, Byun SW, Kim CD, et al. Effects of the external nasal dilators on nasal respiration and patency in patients with deformity of the nasal septum: An acoustic rhinometric study. Korean J Otolaryngol 1999;42:1264-8.

  3. Hong SK, Park SI, Kim CN, Kim CD, Byun SW, Kim JY, et al. Effects of external nasal dilaters on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in Korean adults: A polysomnographic study. Korean J Otolaryngol 1999;42:1134-8.

  4. Min YG, Jung HW, Kim CS. Prevalence study of nasal septal deformities in Korea: Results of a nation-wide survey. Rhinology 1995;33:61-5.

  5. Mladina R, Bastatic L. What do we know about Septal deformites? J Rhinol 1997;4:79-89.

  6. Cole P, Roithmann R. The nasal valve and current technology. Am J Rhinol 1996;10:23-31.

  7. Roithmann R, Chapnik J, Zamel N, Barreto SM, Cole P. Acoustic rhinometry assessment of the nasal valve. Am J Rhinol 1997;11:379-85.

  8. Griffin JW, Hunter G, Ferguson D, Sillers MJ. Physiologic effects of an external nasal dilator. Larynoscope 1997;107:1235-8.

  9. Ng BA, Mamikoglu B, Ahmed MS, Corey JP. The Effect of external nasal dilatores as measured by acoustic rhinometry. Ear Nose Throat J 1998;77:840-4.

  10. Roithmann R, Chapnik J, Coel P, Szalai J, Zamel N. Role of the external nasal dilators in the management of nasal obstruction. Laryngoscope 1998;108:712-5.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