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4(10); 2001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1;44(10): 1123-1126.
A Case of Extramedullary Plasmacytoma of the Adenoid and Palatine Tonsil.
Il Whan Jang, Jung Soo Park, Hyang Bok Kim, Beob Yong Lee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Gil Medical Center, Gachon Medical College, Incheon, Korea.
편도 및 아데노이드에 발생한 골수외 형질세포종 1예
장일환 · 박정수 · 김향복 · 이법영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길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주제어: 골수외 형질세포종편도아데노이드.
ABSTRACT
Extramedullary plasmacytomas (EMPs) are rare, low-grade and malignant transforming solitary tumors consisting of neoplastic plasma cell proliferation that occurs in the bones of the head and neck. Ninety percent of solitary EMPs occur in the head and neck region: these constitute, however, less than 1% of all head and neck malignancies. EMPs represent up to 4% of nonepithelial lesions of the upper respiratory tract. On initial presentations, they must be differentiated from multiple myeloma. At first, EMPs are frequently seen as masses or swellings, accompanied by nasal or pharyngeal symptoms. EMPs are of special interest to otolaryngologists, because the majority of these unusual tumors are present in soft tissues of the head and neck. We present the patient with EMPs of tonsil and adenoid and discuss the related literature on the presentation, epidemiology, workup and management of patient with this rare neoplasm.
Keywords: Extramedullary plasmacytomaPalatine tonsilAdenoid

교신저자:박정수, 405-760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1동 1198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길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전화:(032) 460-3324 · 전송:(032) 467-9044 · E-mail:jsparkmd@ghil.com

서     론


   형질세포 종양은 다발성 골수종, 미만성 골수종, 고립성 골수종, 골수외 형질세포종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개개의 형질세포종이 서로 연관관계를 가지고 상호변화 또는 발전할 수 있으므로 연속되는 질환의 한 부분으로 생각되고 있다.1)2) 이 중 다발성 골수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4) 골수외 형질세포종은 1905년 Schride가 처음 기술한 매우 드문 질환으로5) 형질세포종의 4%를 차지하며 두경부에서 약 80% 내지 90%정도 발생하며,4)7) 특히 림프조직이 풍부한 상부 소화관 및 상기도에 주로 발생한다.6) 비인강, 부비동, 비구, 편도 부위, 구강내 및 후두 부위에 빈발하며 남자가 여자보다 3~4배정도 많이 발생하고 발생연령은 50대에서 70대 사이에 호발한다.5)7)
   골수외 형질세포종은 임상적으로 매우 드문 질환으로 편도 및 아데노이드에서 동시에 발생된 예의 국내 보고는 없다. 최근 저자는 비폐색을 주소로 내원한 여자 환자에서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시행한 후 조직 검사에서 골수외 형질세포종을 발견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환자는 19세 여자로 7~8년 전부터 시작된 비폐색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그 외 구호흡, 재발되는 인후통의 증상이 있었으며, 이학적 검사상 양측편도의 비대와 후비경검사 및 비강을 통한 내시경 검사상 아데노이드의 비대 소견이 관찰되었고(Fig. 1) 양측고막, 비강 및 인후부는 정상이었다. 외래에서 시행한 아데노이드 조직 생검상 아데노이드 증식으로 진단되어 편도 및 아데노이드 비대증 진단하에 입원 후 2000년 3월 16일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수술시 얻은 병리 조직학 소견상 편도와 아데노이드의 형질세포종으로 보고되었다(Fig. 3). 술후 혈청 면역단백 전기영동 검사상 총 단백질(8.9 G/dL)로 증가와 단세포군 감마글로블린병증(monoclonal gammopathy) Ig G, K type 소견외에 이상소견은 없었고, 요중 면역 전기영동 검사상 Bence-Jones 단백은 관찰되지 않았고, 총 단백질은 정상범위였으며 그 외 특이소견은 없었다. 골 주사(99mTc-MDP) 및 단순 방사선 촬영상 골 부위의 침범된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우측 장골에서 시행한 골수 검사상 형질세포는 정상소견이었다. 수술 시행 7개월 후 2000년 10월 31일 경부 자기공명영상에서 편도 및 아데노이드 부위에 방사선 치료 후에 크기는 많이 감소되었으나 잔존 조직이 남아있었다(Figs. 3 and 4).
   수술 후 1개월 뒤 2000년 4월 7일부터 2000년 6월 3일까지 비인강 부위에 1회 180 CGY, 경부하부에 1회 200 CGY씩 1주에 5회, 각각 총 25회씩 2개월에 걸쳐 방사선 치료를 마친 후 7개월 뒤 실시한 편도부위 조직 생검상 재발된 형질 세포종 소견 나왔으나, 골 주사 검사에서 전이 소견 관찰되지 않았고,경부 자기공명영상에서 일부 조직이 남아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전기소작으로 치료 시행하였다.
   2001년 3월 13일까지 환자는 재발 및 다발성 골수종으로의 이환에 대한 소견은 관찰되지 않고 있다.

고     찰

   형질세포종은 비호지킨스 림프종으로 분류되는 B-림프구형 형질세포의 악성화된 드문 질환이다.6) 증상은 종양으로 인한 압박과 폐색으로 나타나며 그 외 종양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국소 동통 및 협부 종창 그리고 두통, 이명, 시력장애 등을 보인다.1)3)11) 때로는 경부 임파절도 14~25%에서 촉지된다.3) 본 증례는 비폐색증, 구호흡, 재발되는 인후통이 주 증상이었다. 형질세포종의 외형은 암적색으로 분엽상, 타원형 및 폴립양의 형태로 나타나며,7) 병리학적 검사로 확진이 가능하고, 국소적 골 침범유무 및 골수내 병변의 확인을 위하여 시행하는 골격 방사선 검사는 병소가 작은 경우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그 한계성이 있다.8) 골 파괴 소견이 보이면 골수외 형질세포종 보다는 다발성 골수종이나 골수내 형질세포종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고, 골수 검사상 형질세포의 증가가 5% 이하일 경우 골수외 형질세포종에 합당한 소견이 된다.5)6) 컴퓨터 단층촬영술이나 자기공명영상, 기관지 내시경, 위 내시경 등으로 종양의 정확한 크기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다발성 골수종은 소변 단백질 전기영동검사에서 약 50%정도에서 Bence-Jones 단백이 나타나나, 골수외 형질세포종에서는 대부분 나타나지 않는다.1)2)12) 또한 혈청면역 전기영동에서는 다발성 골수종에서 보이는 M-spike가 없고, IgG, IgA & IgM의 양도 정상치를 보인다.1)2) 본 증례의 결과는 혈중 면역단백 전기영동 총 단백질의 증가가 관찰되었고,단세포군 감마글로블린혈증(monoclonal gammopathy) IgG, kappa type 소견 보였으며 요중 면역단백 전기영동에서 Bencejonce 단백, M-spike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조직학적으로 편심성 핵, 호염기성 세포질, 핵주위 달무리(perinuclear halo)가 있고, 작은 핵은 5~8개의 염색소가 방사상 배열을 하고 Russel body는 발견되지 않는다.9) 면역염색상 핵주위(perinuclear)나 세포질내 IgM이 IgA나 IgG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K혹은 λ light chain의 감소, B-림프구 항원의 결여 등을 보이는 소견은 단발성 골수외 형질세포종과 저급 B 세포 비호지킨스 림프종, 여포성 림프종, 단구성 B 세포 림프종, MALT type의 저급 B 세포 림프종등 다른 유사 질환을 감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6)
   형질세포의 국소 침착 소견과 더불어 다른 곳, 특히 골수에서 형질세포의 증식 소견이 보이지 않고, 다발성 골수종이 배제되어야 단발성 골수외 형질세포종으로 진단할 수 있다.6)
  
치료는 국소적으로 단독 발생된 경우 수술적 치료나 방사선 치료, 또는 병합치료 요법을 사용할 수 있다.1)2)4)5)14) 종양의 성공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단세포군 감마글로블린병증의 25%정도는 없어지지 않고 존재한다.6) 형질세포는 방사선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골수외 형질세포종 에서는 방사선 치료가 권장되고 있으며, 국소화 된 연조직으로 제거가 쉬운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으며, 완전 제거가 불가한 경우 병합요법으로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6) 본 증례에서는 수술적 치료 후 조직이 남아 있어 추가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다. 방사선 치료 후에도 남아있는 조직은 전기소작술로 제거하였다.
   Alexiou 등6)에 의하면 치료 후 61.1%에서 재발이 없었으나, 22%에서 국소 재발되고 16%에서 다발성 골수종으로 이환되었다.12) 이에 모든 환자에서 최소 5개월부터 350개월 이상 추적 관찰하여 재발 또는 다발성 골수종으로의 이환 여부를 주의해야 한다.
   형질세포종양 중 골수외 형질세포종의 예후가 가장 좋으며 방사선 치료의 경우 수술이나 병합치료보다 다발성 골수종으로의 이환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6) 병합요법이 치료효과가 더 좋으며 치료 후 장기간 추적 관찰하여 재발하거나, 전신적인 형질세포종의 전파가능성을 잘 살펴야 하며 첫 2년 내에 20~50%에서 전신 전파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6) 5년 생존율은 31~75%로 보고되고, 10년 생존율은 50~70%이며 사망하는 경우는 골수외 형질세포종의 전신적 전파시에 주로 발생하며, 사망원인으로는 면역글로블린 생산 감소와 장기간 항암제 투여로 인한 감염, 신부전 등이다.13)
   본 예는 수술적 치료와 방사선 치료 후 재발하여 전기소작으로 국소 치료하였으며 현재까지 재발된 소견은 보이지 않고 있으나, 향후 편도와 아데노이드에 대한 국소적인 재발 여부 및 전신적인 형질세포종의 전파 및 다발성 골수종으로의 이환여부에 대한 추적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REFERENCES

  1. Kim HJ, Lim HH, Choi JO, Yoo HK. A case of extramedullary plasmasytoma of the maxillary sinus. Korean J Otolaryngol 1988;13:681-4.

  2. Seul KY, Sin SG, Lee HJ. Two cases of extramedullary of head and neck. Korean J Otolaryngol 1993;36:1356-62.

  3. Shin SS, Kim YB, Hun HJ, Cho TK. A case of extramedullary plasmacytoma of tonsil. Korean J Otolaryngol 1994;37:1342-6.

  4. Wax MK, Yun KJ, Rawhi AO. Extramedullary plasmacytomas of the head and neck.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3;109:877-85.

  5. Hotz MA, Schwaab G, Bosq J, Munck JN. Extramedullary Solitary Plasmacytoma of the Head and neck, A Clinicopathological Study. Ann Otol Rhinol Laryngol 1999;108:495-500.

  6. Christoph A, Reinhardt JK, Hermann D, Marcus K, Jens CS, Bruno S, Wolfgeng A, et al. Extramedullary Plasmacytoma, Tumor Occurrence and Therapeutic Concepts. Cancer 1999;86:2305-14.

  7. Batsakis JG. Plasma Cell Tumors of the Head and Neck, Ann Otol Rhinol Laryngol 1983;92:311-4.

  8. Ewing MR, Foote FW. Plasma cell tumors of the mouth and upper air passage. Cancer 1952;5:499-513.

  9. Dolin S, Dewar SP. Extramedullary plasmacytoma. Am J Pathol 1956;32:83-103.

  10. Sulzner SE, Amdur RJ, Weider DJ. Extramedullary Plasmacytoma of the Head and Neck. Am J Otolaryngol 1998;109:203-8.

  11. Nofsinger YC, Mirza N, Rowan PT, Lanza D, Weinstein G. Head and Neck Manifestations of Plasma Cell Neoplams. Laryngoscope 1997;107:741-6.

  12. Rolins H, Levin M, Goldberg S, Mody K, Forte F. Solitary Extracedullary Plasmacytoma of the Epiglottis: A case of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Otolarygol Head and Neck Surg 1995;112:754-7.

  13. Sulzner SE, Amdur RJ, Weider DJ. Extramedullary Plasmacytoma of the Head and Neck. American J Otolaryngol 1998;109:203-8.

  14. Wolff AP, Ossoff RH, Clemis JD. Four Unusual Neoplasms of the Nasopharynx.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0;88:753-9.

  15. Kakarlapudi VV, Lankachandra K, Sanford TR. Extramedullary Plasmacytoma in the Anterior Cervical Region.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9;121:296-8.

  16. Fechner RE. Resident's Page.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8;114:92-6.

  17. Seoane J, Cruz ADL, Pomareda M. Primary Extramedullary Plasmacytoma of the Palate.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9;120:530.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