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5(7); 2002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2;45(7): 730-732.
A Case of Cavernous Hemangioma of the Pyriform Sinus.
Han Kook Lee, Seong Hwan Son, Kang Dae Lee, Jae Hwa Lee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Busan, Korea.
2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Busan, Korea.
이상동에 발생한 혈관종 1예
이한국1 · 손성환1 · 이강대1 · 이재화2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1;병리학교실2;
주제어: 이상동혈관종.
ABSTRACT
Approximately 60% of all hemangiomas occur in the head and neck region, but hypopharyngeal hemangiomas are very rare. The diagnoses were classified depending on histopathologic findings into cavernous hemangioma, capillary hemangioma and mixed hemangioma. The treatments are sclero theraphy, surgical excision, vascular ligation, cryotheraphy, electrical cautery, ND Yag laser excision, and CO2 laser excision.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hemangioma in the medial wall of the left pyriform sinus. In our case, we removed it "en bloc" without difficulty with the endoscopic CO2 laser. The histologic diagnosis was a cavernous hemangioma with no evidence of malignancy. One year after surgery, there was no evidence of residual tumors or recurrence. We report this case of cavernous hemangioma in the hypopharynx.
Keywords: HemangiomaHypopharynx

교신저자:이한국, 602-702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34번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51) 990-6277 · 전송:(051) 245-8539 · E-mail:hklee@ns.kosinmed.or.kr

서     론


   모든 혈관종의 약 60%는 두경부에서 발생하나 하인두에 발생하는 혈관종은 매우 드물다.1)2) 하인두에 발생하는 종양의 대부분은 악성 종양이며 그 중 가장 흔한 것은 편평세포암종이고, 양성 종양은 드물지만 섬유 지방종, 평활근종이 주로 발생한다. 이상동에 발생한 혈관종은 Hayden이 1925년 처음으로 보고하였으며 현재까지 소수의 증례만 보고되고 있다.1) 하인두에 발생한 혈관종은 종괴효과(mass effect) 때문에 인후 불편감, 연하장애, 기도폐쇄, 출혈 등의 증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1)2) 이러한 증상이 발현되는 경우 치료로는 경화 요법, 개방성 외과적 절제술, 혈관 결찰술, 동결요법, 전기 소작법, 경화 요법, ND Yag 레이저 절제술, CO2 레이저 절제술 등이 있고3)4)5) 최근에는 레이저를 이용한 혈관종 절제술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3)6)8) 레이저 치료 후 예후는 비교적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저자들은 약 1년간의 인후의 불편감을 주소로 내원한 53세의 여자로서 후두내시경 검사상 좌측 이상동에 1.5×1.5×1.0 cm 크기의 종괴가 관찰된 환자에서 레이저 절제술을 시행한 후 조직 검사상 혈관종으로 진단된 1예를 치험 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환자는 53세 여자환자로 약 1년간의 인후의 불편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력과 가족력상 특이사항은 없었으며 문진상 호흡곤란은 호소하지 않았다. 후두내시경 검사상 좌측 이상동 내측면에 1.5×1.5×1.0 cm 크기의 비교적 경계가 명확한 회청색의 비박동성 종괴가 관찰되었으며(Fig. 1A) 성대의 마비나 다른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학적 검사상 경부의 병적 림프절이나 종물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심전도, 혈액검사, 소변검사 및 혈액화학검사에서도 모두 정상 범위였다.
   이상의 검사 소견으로 좌측 이상동에 발생한 혈관종증 의심하에 CO2 Laser(5 watt, superpulse mode)를 이용한 적출술을 시행하였다(Fig. 2). 술 중 출혈에 대비하여 지혈용 전기소작기구와 혈관 결찰용 Clip을 준비하였으며 수술시 종괴가 식도 입구부까지 침범하여 주위조직과의 박리가 어려웠으나 많은 출혈 없이 종괴의 피막을 포함하여 완전절제를 하였다. 술 후 시행한 병리 조직학적 검사에서 혈관의 활동성 증식이 보이는 해면 혈관종으로 진단되었다(Fig. 3). 환자는 술 후 2일째 특별한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으며 현재 외래 추적 관찰 중이나 재발이나 합병증 등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Fig. 1B).

고     찰

   혈관종의 발생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대부분 선천적으로 생겨 6~12개월 사이에 자연 퇴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늦어도 4~10세 사이에 완전 퇴화되며 어른에서 발생되는 예는 흔치 않다.1)2) 모든 혈관종의 약 60%는 두경부에서 발생하나 하인두에 국한되어 발생하는 혈관종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고 Hayden이 1925년 처음 보고하였으며 현재까지 소수의 증례만 보고되고 있다.1) 
   하인두에 발생한 혈관종은 종괴효과(mass effect)로 인한 임상증상이 발현되며 크기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으나 인후부의 이물감, 연하 곤란, 연하 동통, 애성, 목을 깨끗이 하려는 반복적 헛기침, 객혈 등 다양한 증상을 호소할 수 있고 저자들이 체험한 예에서처럼 단지 인후의 불편감만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이학적 검사상에서는 회청색이나 혹은 회백색의 매끈한 표면을 가진 비박동성의 종괴가 후두 내시경 검사상 하인두에서 관찰되며2) contrast enhanced CT scan에서는 불규칙한 초점을 가진 균일하게 조영이 증가되며 석회화 소견을 보이는 종물로 나타나고 MRI나 MRA에서는 많은 혈관들로 구성된 낮은 혈류를 가진 종물로 관찰된다.1)
   혈관종의 분류는 소아형, 성인형으로 분류하거나 병리조직검사상 혈관의 크기에 따라 모세혈관형, 해면형, 혼합형으로 분류하기도 하며 Mulliken 등9)은 혈관종의 조직학적, 생리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증식기(proliferating phase)와 퇴행기(involuting phase)로 나누었다.10) 또한 최근에는 혈관종, 정맥기형, 동정맥기형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진단은 임상 증상, 이학적 검사, 후두내시경 검사상의 육안적 소견, 방사선 검사 등으로 감별 진단할 수 있고 확진은 병리 조직 검사에 의한다.7) 병리 조직학적 소견으로 소아에서 주로 발생하는 모세혈관종은 한 층의 납작한 내피세포로 구성된 모세혈관 크기의 많은 혈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혈관주위세포들과 망상 섬유질들로 둘러 싸여 서로 엉켜있는 모양을 하고 있으며11) 어른에서 주로 발생하는 해면혈관종은 진피의 심부나 피하조직에 생기며 조직학적으로 큰 정맥관이나 동양혈관(sinusoidal blood space)으로 구성되어 있고 불안정한(friable) 점막이 종물을 싸고 있는 형태를 나타낸다.11)12) 
   치료는 환자의 연령, 혈관종의 발생부위와 크기, 조직학적, 생리학적 특성, 임상증상의 발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되는데 경화 요법, 개방성 외과적 절제술, 혈관 결찰술, 동결요법, 전기 소작법, ND Yag 레이저 절제술, CO2 레이저 절제술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레이저를 이용한 혈관종 절제술이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되어지고 있고5)6)8) 저자들의 예에서도 CO2 laser를 이용하여 많은 출혈없이 종괴를 완전절제할 수 있었다. 레이저 절제술 후 혈관종의 재발은 다른 치료 방법보다 낮아 예후는 비교적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상동에 발생하는 혈관종은 매우 드문 예로 저자들은 인후 불편감을 주소로 내원한 53세 여자 환자에서 CO2 laser 절제술 후 조직검사상 이상동에 발생한 해면 혈관종으로 진단된 예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FERENCES

  1. Guo YC, Chu PY, Ho Donald MT, Chang SY. Hemangioma of the pyriform sinus.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1;124:707-8.

  2. Edwin WC. Carvernous hemangioma of the oral and hypopharynges. Am J Surg 1961;102:798-802.

  3. Yellin SA, Labruna A, Anand VK. Nd: YAG laser treatment for laryngeal and hypopharyngeal hemangiomas: a new technique. Ann Otol Rhinol Laryngol 1996;105:510-5.

  4. Li X. Rare cavernous hemangioma of the hypopharynx with numerous phleboliths. J Laryngol Otol 1990;104:262-3.

  5. Bardach J, Panje W. Surgical management of large cavernous hemangioma.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1;89:792-6.

  6. Healy G, McGill T, Friedman EM. Carbon dioxide laser in subglottic hemangioma An update. Ann Otol Rhinol Laryngol 1984;93:370-3.

  7. Bingham HG. Predicting the course of a congenital hemangioma. Plast Reconstr Surg 1979;63:161-66.

  8. Healy GB, Fcaron B, French R, McGill T. Tretment of subglottic hemangioma with the carbon dioxide laser. Larygoscopy 1980;90:809-13.

  9. Glowacki J, Ulliken JB. Mast cells in hemangiomas and vascular malformations. Pediatrics 1982;70:48-51.

  10. Wander M, Suen JY, Dinehart S. Treatment of hemangiomas of the head and neck. Laryngoscope 1992;102:1123-32.

  11. Shpitzer T, Noyek AM, Witterick I, Kassel T, Ichise M, Gullane P. Noncutaneous carvernous hemangiomas of the head and neck. Am J Otolaryngol 1997;18:367-74.

  12. Pitanguy I, Machado BHB, Radwanski HN, Amorim NFG. Surgical treatment of hemangiomas of the nose. Ann Plast Surg 1996;36:586-92.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