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6(3); 2003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3;46(3): 253-254.
A Case of Inferior Concha Bullosa.
Young Chul Oh, Min Jung Kim, Jin Bog Park, Won Yong Lee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Wallace Memorial Baptist Hospital, Busan, Korea. nogarybeer@lycos.co.kr
수포성 하비갑개 1예
오영철 · 김민정 · 박진복 · 이원용
왈레스 기념 부산침례병원 이비인후과
주제어: 비갑개비폐색.
ABSTRACT
Concha bullosa is defined as the pneumatization of intranasal turbinates (superior, middle, or inferior). Inferior concha bullosa (ICB) is a very rare condition and it can cause nasal obstruction that needs surgery. In the English-Language literature, there are 3 reported unilateral ICB and 2 bilateral ICB. We experienced a case of unilateral ICB which was associated with septal deviation, chronic rhinosinusitis and nasophryngeal inverted papilloma. ICB was diagnosed by computed tomography (CT) showing pneumatization of inferior and middle turbinate on the right side in the coronal and axial plane. There have not been any reports of inferior concha bullosa in the last ten years in Korea.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literature.
Keywords: TurbinatesNasal obstruction

교신저자:박진복, 609-728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 374-75  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이비인후과
              전화:051) 580-1343 · 전송:051) 514-2864 · E-mail:nogarybeer@lycos.co.kr

서     론


  
수포성 갑개는 비내갑개의 함기화로 주로 중비갑개의 함기화를 일컫는 말로 사용된다. 수포성 중비갑개는 중비갑개의 가장 흔한 해부학적 변이로 이의 발생률은 정상인에서 8~20%에 이르고, 유병률은 33~43.9%에 달한다.1) 반면에 수포성 하비갑개는 매우 드문 변이이다. 영어로 쓰여진 논문에서 3개의 일측성 수포성 하비갑개와 2개의 양측성 수포성 하비갑개가 보고되어 졌다.2)3)
   수포성 중비갑개와 수포성 하비갑개가 동시에 있는 1예를 부비동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진단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18세 남자가 양측 비폐색과 후비루를 주소로 2002년 1월 본원에 내원하였다.
   진찰소견과 비내시경 검사상 좌측 비중격 만곡과 우측 중비갑개 및 하비갑개 비후로 좁아진 중비도에서 비종물이 발견되었다. 또한 우측 후비공과 비인강을 가득 메운 거대한 종물을 확인한 후 조직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반전성 유두종으로 확진되었다.
   부비동 전산화단층 촬영 결과 비중격이 왼쪽으로 만곡되어 있었으며, 우측 중비갑개와 하비갑개의 함기화 이외에 나머지 소견은 비내시경 검사소견과 일치하였다(Fig. 1).
   2002년 2월 국소마취 하에서 비중격성형술과 비내시경 부비동수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후 지속되는 우측 비폐색을 호소하여 우측 하비갑개의 앞면에 절개를 하고, 그 안의 장액성 내용물을 제거하고 외측 골성 판을 제거하는 하비갑개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4개월 동안 추적관찰한 결과 환자의 비폐색과 후비루는 완전히 해소되었으며, 반전성 유두종의 재발은 없었다.

고     찰

   수포성 하비갑개는 수포성 중비갑개와 달리 매우 드물다. 1988년 Zinreich 등4)은 상악동과 연결되어 있는 수포성 하비갑개를 전산화단층촬영으로 처음 보고하였다. 그러나 Stammberger5)는 수포성 상비갑개는 매우 드물게 존재하나 수포성 하비갑개는 사골누두의 하강을 잘못 진단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와는 상반되게 Dogru 등6)과 Dawlaty 등3)은 상악동과 분리된 수포성 하비갑개 몇 증례를 수술로 치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우리가 치험한 증례도 상악동과 분리된 골성 판을 가지고 있었다.
   발생학적으로 하비갑개는 태생 7주에서 8주에 연조직 싹으로 나타난다. 태생 9주에서 10주에는 상악의 골성 구조물에서 커지기 시작하여 태생 13주에서 14주에는 하비도의 외측벽이 된다. 태생 15주에서 16주가 되면 비갑개가 모두 완전히 발달되게 된다. 태생 17주에서 18주가 되면 비갑개의 연골부분이 골화되기 시작한다.7)8)9) Bingham 등7)은 하비갑개는 상악의 연골낭과 뼈에서 기원한다고 보고하였다. Arredondo 등8)은 연골비낭의 골화는 하비갑개의 외측 부분부터 시작된다고 보고하였다.
   하비갑개 발생기전에 대한 2가지의 보고가 있는데 첫 번째는 Dogru 등6)에 의해 제시된 하비갑개 연골비낭의 골화기간 중에 상피조직이 하비갑개 안으로 잘못 합입되어서 수포성 하비갑개가 발생되었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Namon 등10)에 의해 제시된 상악동 질환에 의해서 형성된 하비갑개 유착과 밀접히 연관된 함기세포 형성이다.
   수포성 하비갑개는 환자가 증상이 없을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없으나 비폐색 증상이 있는 환자일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만약 수포성 하비갑개가 상악동과 관련이 없다면 수포성 중비갑개 환자에게 종종 시행되는 하비갑개 내측부분 절제를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수포성 하비갑개가 상악동의 연장인 경우에는 하비갑개를 제거함으로써 의인성 하비도 상악동절개를 야기하게 된다.11) 이는 상악동의 자연공과 하비도 상악동절개 부위 사이의 재순환 현상을 야기시켜 지속적으로 부비동염을 일으킨다.10) 이를 방지하기 위해 Har-El 등12)이 수포성 중비갑개에 적용했던 방식대로 하비갑개를 압착시키는 하비갑개 성형술을 시행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장점은 의인성 하비도 창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수포성 하비갑개의 내측 골성 판 부분을 제거할 필요가 없고, 필요하면 더 많은 부피감소를 얻으며 덮고 있는 점막을 보존할 수 있다. 새로운 기구인 concha bullosa crusher는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13)
   본 증례에서는 수포성 하비갑개의 외측 골성 판을 제거하는 술식을 시행하여 내측 하비갑개 점막을 보존하였다.


REFERENCES

  1. Unlu HH, Altuntas A, Asim A, Gorkem E, Aylin Y. Inferior concha bullosa. J Otolaryngol 2002;31:62-4.

  2. Ozcan C, Gobur K, Duce MN. Massive bilateral inferior concha bullosa Ann Otol Rhinol Laryngol 2002;111:100-1.

  3. Dawlaty EE. Inferior concha bullosa - radiological and clinical rarity. Rhinology 1999;37:133-5.

  4. Zinreich SJ, Mattox DE, Kennedy DW, Chisholm HL, Diffley DM. Concha bullosa : CT evaluation. J Computer Assisted Tomography 1988;12:778-84.

  5. Stammberger H. ed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Philadelphia: BC Decker 1991.

  6. Dogru H, Doner F, Uygur K. Pneumatized inferior turbinate. American J Otolaryngol 1999;20:139-141.

  7. Bingham B, Wang RG, Hawke M, Kwok P.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the nasal wall from 8 to 24 weeks. Laryngoscope 1991;101:992-7.

  8. Arredondo AG, Lopez SN, Rama HR. A morphogenesis of the lateral nasal wall 6 to 36 weeks, Otolaryngology Head Neck Surg 1996;114:54-60.

  9. Wang RG, Jiang SC.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the human ethmoid labyrinth from 8-40 weeks, Arch Otolaryngology. 1997;117:118-22.

  10. Namon AJ. Mucocele fo the inferior turbinate. Ann Otol Rhinol Laryngol 1995;104:910-2.

  11. Kane KJ. Recirculation of mucus as a cause of persistent sinusitis. Am J Rhinol 1997;11:361-9.

  12. Har-El G, Slavit DH. Turbinoplasty for concha bullosa: a non-synechiae-forming alternative to middle turbinectomy. Rhinology 1996;34:54-6.

  13. Woolford TJ. A concha bullosa crusher for use in endoscopic sinus surgery. J Laryngology and Otology 2000;114:205-6.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1,862
View
14
Download
Related articles
A Case of Bilateral Plunging Ranula  2023 November;66(11)
A Case of Seborrheic Keratosis of Cavum Concha  2023 May;66(5)
A Case of Inferior Turbinate Osteonecrosis Due to Denosumab  2023 March;66(3)
A Case of Hamartoma of the Subglottis  2018 July;61(7)
A Case of the Thyroid Abscess  1996 ;39(10)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