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6(9); 2003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3;46(9): 780-782.
A Case of Orbital Apex Syndrome Caused by Mucocele in the Sphenoid Sinus.
Eun Koo Jeon, Sang Jun Ahn, Kyoung Hoon Yun, Tae Woon Kim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Dong Kang Hospital, Ulsan, Korea. ktwent@netian.com
접형동 점액류에 의한 안와첨증후군 1예
전은구 · 안상준 · 윤경훈 · 김태운
동강병원 이비인후과
주제어: 시각 질환안구 질환접형동점액류.
ABSTRACT
Orbital complications of sinus disease continue to appear in clinical practice. Acute visual loss may occur in association with sinusitis either as a complication of orbital cellulitis or, less frequently, as a part of the orbital apex syndrome. The classification which defines the degree of orbital extension is valuable, therapeutically and prognostically. The orbital apex syndrome is associated with an affection of the vessels and nerves passing through the superior orbital fissure and the optic foramen and characterized by visual loss and ophthalmoplegia. But it has minimal or no signs of orbital inflammation such as proptosis, chemosis, or lid edema. We experienced a case of temporary monocular visual loss and ophthalmoplegia caused by mucocele in the sphenoid sinus. Thus, we report, with a review of literature, a case of orbital apex syndrome caused by mucocele in the sphenoid sinus in a 53 year-old male patient.
Keywords: Vision disorderOrbital diseaseSphenoid SinusMucocele

교신저자:김태운, 681-320 울산광역시 중구 태화동 123-3  동강병원 이비인후과
              전화:(052) 241-1320 · 전송:(052) 241-1407 · E-mail:ktwent@netian.com

서     론


  
접형동 점액류에 의한 안와첨증후군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1)2)3) 점액류는 반복적인 부비강염으로 부비강의 개구부 폐쇄와 정체낭의 형성으로 발생한다. 점액류의 벽은 부비강 점막으로 이루어지며, 점성액이 주성분이다.1)
   안와첨증후군은 상안와열과 그에 인접한 시신경관을 통과하는 구조물이 침범될 때 생기는 드문 질환이다. 이 증후군은 협골상악부 골절, 구후 종양, 구후 혈종, 해면정맥동의 혈종 및 감염에 의해 유발되며 접형사골동염에 의해 병발되기도 한다.4)5)6)7)
   접형동 점액류에 의한 안와첨증후군은 두통, 현저한 시력소실, 외안근마비가 특징적이며, 안구돌출, 결막부종 등의 안와감염 소견은 거의 없다.
   저자들은 우측 접형동 점액류에 의한 일시적인 시력소실과 외안근마비가 있었던 안와첨 증후군 1예를 치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53세 남자 환자가 갑자기 시작된 우안의 시력 소실을 주소로 인근 안과에서 2주간 치료하였으나 호전이 없어 2003년 3월 본원 안과를 통해 의뢰되었다. 신체검사상 발열은 없었고 우안의 안검하수, 복시와 우안의 상외측 편위가 관찰되었으며 점진적인 두통 증상도 호소하였다. 상·하방 주시 때 우안의 안구움직임이 제한되어 있었으나 안검돌출이나 결막부종, 안검부종, 안구동통의 소견은 없었다(Fig. 1A, B and C). 시력은 우안이 0.2, 좌안은 1.0으로 측정되었고 안저검사 소견 및 대광반사는 정상이었으며 동공의 구심성반사도 정상 소견이었다.
   경부강직 또는 다른 뇌수막자극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비강 검사상 특이한 소견은 없었다. 과거력상 8년전 고혈압을 진단받아 현재 치료중인 것 외에는 특이한 사항은 없었다.
   전산화단층촬영상 우측 접형동의 점액낭종과 함께 뇌기저부의 골결손이 관찰되어(Fig. 2), 내시경적 부비동 조대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비강을 통해 우측 접형동의 자연개구공을 확인한 후 점액류를 개방하여 농을 제거하고 자연개구공을 확장시켰다. 수술시 우측 접형동의 점액류로 인한 약 1×1.5 cm 크기의 뇌기저부 골결손과 함께 경수뇌막이 관찰되었으나, 수술 후 특이한 사항은 없었다. 수술 후 즉시 시행한 시야분석 검사(Fig. 3)에서 시신경의 압박으로 매우 협착된 시야 소견을 보였으며, 시력검사상 우안은 0.5로 약간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수술 후 1주일째 우안 시력은 0.7로 측정되었고 복시와 안구움직임도 호전되었다. 수술 후 4주일째 시야분석 검사(Fig. 4)에서 시야가 80%이상 호전된 소견이 관찰되었고 시력도 0.8로 측정되었다. 수술 후 6주부터 안검하수와 외안근마비는 완전히 없어졌으며 시력도 1.0으로 정상 회복되었다.

고     찰

  
점액류는 반복적인 부비강염으로 부비강 개구부 폐쇄와 정체낭의 형성으로 발생한다. 점액류의 벽은 부비강의 점막으로 이루어지며, 콜레스테롤 결정, 적세포, 호중성 과립구, 그리고 상피성 박리세포로 구성된 점성액이 주성분이다.1) 남녀 비율은 동일하며, 호발 연령은 없다. 접형동 점액류의 흔한 증상은 두통이며, 시력 장애와 안검하수 및 외안근 마비가 올 수 있다.1)2)3) 대부분의 점액류는 전두동과 사골동에서 발생하며 접형동 점액류는 모든 부비동 점액류의 1%를 차지한다.2)
   안와첨증후군은 상안와열과 그에 인접한 시신경관을 통과하는 구조물이 침범될 때 생기는 드문 질환으로 현저한 시력 소실, 외안근마비와 같은 증상이 특징적이며, 안와 감염의 소견은 거의 없다.4)5)6)7) 안구 운동 장애, 민감도 변화, 감각 변화가 동반될 수 있는데 안구 운동 장애는 뇌신경 3, 4, 6번의 마비로 내안근마비와 외안근마비가 동반되어 나타나며, 동안신경마비로 안검하수가 발생하게 된다. 안신경의 세 분지가 상안검, 각막, 결막, 외비, 전두동 피부를 지배하여 초기 신경통이 이상감각 또는 무감각으로 바뀔 수 있으며, 시신경의 침범에 의한 신경염과 유두부종으로 결국 흑내장이 발생할 수 있다.5)
   안와내벽의 전방부는 지판이 얇으나 후방부는 두꺼우며, 전방부의 안와골막은 얇고 느슨하게 부착되어 있으나 후방부에서는 두껍고 단단하게 밀착되어 있어 염증의 파급을 막는 역할을 한다. 전방부에는 사골구멍이 있어 부비동에서 안와로 염증을 전파하는 통로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안와첨부위는 골벽이 두꺼워 염증 파급이 어렵다. 이러한 부비동과 안와의 해부학적인 구조적 특이성으로 안와첨증후군은 안와감염보다 훨씬 드물게 나타난다. 안와감염이 주로 사골동염이나 상악동염처럼 안와의 전방부에 위치한 부비동염에서 시작되는 반면 안와첨증후군은 후사골동염 혹은 접형동염처럼 안와 후방부의 부비동염에서 기인한다.
   부비동염과 연관된 급성 시력소실은 안와봉와직염이나 안와첨증후군과 연관되어 발생한다. 안와농양이나 골막하농양의 경우 약 15%에서 영구적인 시력소실이 발생한다.6)8)11) 이는 혈관 압박이나 시신경 압박과 침범으로 발생하며, 패혈성 혈관염이나 안구내 압력증가도 원인 인자로 고려되고 있다. 안와첨증후군에 의한 영구적인 시력소실률은 보고된 바가 없으나 문헌 검토에 의하면 안와첨증후군에 합당한 8예 중 5예에서 영구적인 시력 소실을 보여 안와농양이나 골막하농양보다 훨씬 불량한 예후를 보였다.6)7)8)9)10)11)
   진단은 임상 증상과 함께 특히 전산화단층촬영이 중요하며, 신생물과 육아종성질환, 진균감염, 접형사골동내의 점액류 등과 감별이 필요하다.7)9)
   치료는 고용량의 정맥 항생제 사용, 즉각적인 부비동의 감압과 배농이다. 특히, 접형동 점액류는 항상 수술이 주치료이며 내시경적 비내 접형동 접근법이 수술 시야도 좋고 안전한 방법이어서 다른 접근법에 비해 합병증도 피할 수 있다.2)
   시신경관을 열어주는 것이 예후를 호전시킬 것이라는 기대도 있으나 급성 감염기에 시신경관을 열어 노출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4)8)
   안와첨증후군의 예후는 불량하지만, 적극적인 치료시 어느 정도 시력회복이 가능하고 치료하지 않았을 때 반대편 눈으로 감염 파급이 가능하므로 즉각적인 수술과 항생제 치료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만성적인 두통과 급성 시력소실 및 외안근 마비가 발생한 경우, 특히 결막부종이나 안검부종 등 안와 감염의 소견이 없는 경우라면 안와첨증후군의 가능성을 의심하여 조기에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를 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Girolamo SD, Cannizzaro P, Picciotti P, Nardi C. Ophthalmoplegia and ptosis as onset symptoms of an isolated primary mucocele of the sphenoid sinus. J Oral Maxillofac Surg 2002;60:1500-2.

  2. Songklot A, Winai W. Sphenoid sinus mucocele presenting with isolated oculomotor nerve palsy. J Med Assoc Thai 2001;84:1340-3.

  3. Roufail E, Briggs R, Tress B, Kaye AH. Sphenoid sinus mucocele presenting as complete ophthalmoplegia. Journal of Clinical Neuroscience 2001;8:372-4.

  4. Kwon JK, Kim SH, Yu HK, Ahn SK. A case of orbital apex syndrome caused by paranasal sinusitis. Korean J Otolaryngol 2002;45:825-7.

  5. Kronschnabel EF. Orbital apex syndrome due to sinus infection. Laryngoscope 1974;84:353-71.

  6. Welch LW, Welch JJ. Orbital complications of sinus disease. Laryngoscope 1974;84:848-56.

  7. Slavin ML, Glaser JS. Acute severe irreversible visual loss with sphenoethmoiditis-'posterior' orbital cellulitis. Arch Ophthalmol 1987;105:345-8.

  8. Tarazi AE, Shikani AH. Irreversible unilateral visual loss due to aute sinusiti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1;117:1400-1.

  9. El-Sayed Y, Al-Muhaimeid H. Acute visual loss in association with sinusitis. J Laryngol Otol 1993;107:840-2.

  10. Zachariades N, Vairaktaris E, Papavassiliou D. Orbital apex syndrome.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87;16:352-4.

  11. Jarrett WH, Gutman FA. Ocular complication of infection in the paranasal sinuses. Arch Ophthalmol 1969;81:683-8.

  12. Brent BD, May DR. Orbital apex syndrome after penetrating orbital trauma. Ann Ophthalmol 1990;22:267-8.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