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6(9); 2003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3;46(9): 787-789.
A Case of Schwannoma of the Tonsil.
Byung Joo Lee, Soo Geun Wang, Sang Ho Yoon, Ki Tae Kim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wangsg@pusan.ac.kr
편도에 발생한 신경초종 1예
이병주 · 왕수건 · 윤상호 · 김기태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주제어: 신경초종편도.
ABSTRACT
Schwannoma is a benign, solitary tumor which may arise from the nerve sheath of the peripheral, sympathetic and cranial nerves. It is a characteristically slowly growing, well-encapsulated mass. About 25-45% of schwannoma occurs in the head and neck region with which the acoustic nerve is most frequently involved. Schwannoma arising in the tonsil is extremely uncommon. In this stud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schwannoma of the tonsil in 23-year-old female. We report this case with a literature review.
Keywords: SchwannomaTonsil

교신저자:왕수건, 602-739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1가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51) 240-7331 · 전송:(051) 246-8668 · E-mail:wangsg@pusan.ac.kr

서     론


  
신경초종(schwannoma)은 뇌신경, 교감신경, 말초신경 등 모든 신경섬유의 신경초 세포(schwann cell)에서 기원하며 신체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 비교적 드문 양성 종양이다. 두경부가 흔한 호발부위로 약 25∼45%가 발생하고 그 중 청신경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신경초가 없는 시신경과 후각신경에는 발생하지 않는다.1)2) 편도에 발생한 신경 초종은 극히 드문 경우로 저자들의 문헌고찰에 의하면 아직 국내보고는 없었으며 국외보고는 성인 2예, 소아 1예로 총 3예의 보고가 있었다.3)4)5) 이에 저자들은 좌측 편도에 발생한 신경초종을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23세 여자환자로 좌측 편도비대와 경한 이물감을 주소로 2002년 2월 내원 하였으며 약 3년전 경한 이물감으로 개인병원 방문하여 좌측 편도비대로 수술을 권유받았으나 치료받지 않고 지내다 크기가 점점 커져 내원하였으며, 과거력과 가족력상 특이사항은 없었다. 이학적 검사상 좌측 구개편도가 grade III로 커져있었고 우측 구개편도는 grade I의 크기를 보였다(Fig. 1). 촉진시 유연한 경도를 보였으며 피막에 싸여 있었다. 구강내 다른 부위와 경부에는 특이소견이 없었고 간접 후두경 및 후두내시경 검사상에서도 특이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술전에 시행한 심전도, 혈액검사, 뇨검사, 간기능검사, 흉부 X-선 검사는 정상이었고 전산화 단층촬영상 좌측 구개편도에 3.5×3 cm 크기의 불균질한 종물을 확인 할 수 있었다(Fig. 2).
   수술은 환자를 앉힌 상태에서 xylocaine spray로 구역 반사(gag reflex)를 감소시키고 개구기를 설치한 후 설압자(self tongue retainer)로 혀를 눌러 시야를 확보한 후 epinephrine:lidocaine(1:100,000) 용액 4 cc를 좌측 편도 주 위에 침윤마취 후 좌측 편도와 종물을 같이 제거하였다.
   국소 소견상 정상 편도조직 외에 3.5×3×3 cm 크기의 갈색을 띠고 피막으로 잘 덮혀 있는 종물이 관찰되었으며(Fig. 3)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Antoni A 부위와 Antoni B 부위가 혼재되어 있는 신경초종으로 확진되었다(Fig. 4). 술 후 출혈 등의 합병증 없이 3일째 퇴원하였으며 수술 후 15개월까지 재발소견은 없었다.

고     찰

   신경초종은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신경초가 없는 시신경 및 후각신경을 제외한 모든 신경섬유의 신경초 세포(schwann cell)에서 기인하는 양성종양으로서, 뇌신경, 척수신경 뿐 아니라 자율신경에서도 발생하며 약 25% 내지 45%가 두경부에서 발생하고 단일부위로서는 청신경에서의 발생빈도가 가장 높다.2)6) 일반적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으며, 모든 연령층에서 올 수 있으나 젊은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신경초종의 진단은 병력이나 임상적 증상 및 증후와 방사선검사, 조직검사 등으로 이루어지며, 특징적인 병리학적 소견을 가지고 있다.7) 신경초 종양은 특기할 만한 초기 증상이 없고, 성장이 느리고 전이를 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환자에서 무통성의 종괴를 보이다가, 종물이 자라서 주위조직이나 신경 등의 해부학적 구조를 압박하여 애성, 기침, 호흡곤란 등이 올 수 있다. 방사선 검사상으로는 자기공명영상이 치아에 의한 인공산물(artifact)을 형성하지 않고, 주위 해부학적 구조와의 경계를 보다 명확히 보여주기 때문에 전산화단층촬영보다 진단적으로 더 유용하다. 육안적 소견상 종괴는 다양한 크기를 가진 단발성이며 난형 또는 구형으로 경도가 유연하고 피막에 잘 싸여져 있다. 표면은 평활하거나 약간의 결정성을 가지며, 혈관분포가 왕성하고 때로는 표면에 출혈을 보이는 수도 있다. 색깔은 엷은 회색 내지는 갈색이고, 절단면은 약간 융기되어있고 종괴가 커짐에 따라 중심괴사, 울혈, 지질화, 석회화 변화 및 낭포성 변화 등이 관찰되기도 한다.8)
   신경초종은 두 가지 특징적인 병리학적 소견을 가지고 있다. Antoni type A와 B로 나뉘어지며 대부분에 있어서 두 가지 type이 혼재된 양상을 보인 다. Antoni A형은 신경초 세포가 주위 결합조직과 잘 배열되어 있고, 핵의 중앙에 Verocay소체가 있고 핵이 책상배열(palisading pattern)을 이루며 Antoni B형은 조직의 간질이 엉성한 형태를 보이고 낭종성 변화나 출혈성 괴사를 동반한다. 이러한 특징적인 Antoni type은 재발이나 악성화와는 무관하다.1)
   감별해야 할 질환으로는 혈관종, 타액선 종양, 경동맥구종양, 유피낭종, 갑상설낭종, 림프관종, 점액낭종 및 섬유종 등이 있지만 신경섬유종과의 감별진단이 가장 중요하다. 신경초종과 신경섬유종의 차이점은 신경초종은 신경섬유내 원심성 분포를 보이고 단발성이며 피막에 잘 싸여 있으며 악성 변화가 거의 없고 종종 동통을 수반하고 출혈이나 낭포성 변화를 관찰 할 수 있지만, 신경섬유종은 신경섬유내 구심성 분포를 보이고 다발성이 흔하고 무증상이며 특히 von Recklinghausen병과 동반될 때 악성 변화가 많다.
   치료는 종괴가 방사선치료에 저항성이 있으므로,2)9) 외과적 적출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수술적 제거시 피막에 싸인 채 적출해야 하나, 일부 피막이 남아있어도 재발은 거의 하지 않는다.1)


REFERENCES

  1. Seo YI, Nam SY, An KH, Kim SY, Lee KS. Extracranial nerve sheath tumors of the head and neck. Korean J Otolaryngol 1997;40:908-13.

  2. Conley JJ. Neurogenous tumors in the neck. Arch Otolaryngol 1955;61:167-80.

  3. Lall GS, Walsh RM, Rowlands DC, Donalson I. Schwannoma (neurilemmoma) of the tonsil. J Laryngol Otol 1999;113:585-6.

  4. Naik SD, Agrawal S. Neurilemmoma of tonsil. J Indian Med Assoc 1975;65:17-8.

  5. Bildirici K, Cakli H, Kecik C, Dundar E, Agikalin MF. Schwannoma (neurilemmoma) of the palatine tonsil.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2 Jun;126:693-4.

  6. Gallo WJ, Moss M, Shapiro DN. Neurilemmoma: Review of the literature & report of five cases. J Oral Surg 1977;35:235-6.

  7. Das Gupta TK, Brasfield RD, Strong EW, Hajdu SJ. Benign solitary schwannomas (neurilemmomas). Cancer 1969;24:355-66.

  8. Batsakis JG. Tumor of the head & neck. 2nd Edition Baltimore, Williams & Wilkins;1979. p.313-8.

  9. Kragh LV, Soule EH, Masson JK. Benign and malignant neurilemmomas of the head and neck. Surg Gynecol Obstet 1960;111:211-8.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1,625
View
12
Download
Related articles
A Case of Myxofibrosarcoma in the Maxillary Sinus  2024 June;67(6)
A Case of Adenocarcinoma of the External Nose  2024 April;67(4)
A Case of Cholesterol Granuloma in the Nasal Septum  2023 December;66(12)
A Case of Seborrheic Keratosis of Cavum Concha  2023 May;66(5)
A Case of Auricular Schwannoma After Trauma  2023 March;66(3)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