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4;47(1): 43-46. |
A New Instrument for Sinus Irrigation: Self-Supportable Sinus Irrigator. |
Yeong Seok Yun |
Serome Ear Nose Throat Clinic, Incheon, Korea. kyjung@kumc.or.kr |
새로운 부비동 세척기의 개발:자가지지형 부비동 세척기 |
윤영석 |
새롬이비인후과 |
|
|
|
주제어:
부비동ㆍ세척. |
ABSTRACT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re are several methods of sinus irrigation, they also have several problems such as, local pain and damage to the orbit or the tooth, bleeding, soft tissue swelling of the cheek, prolonged procedure time and so on. Now, a new instrument for sinus irrigation, self-supportable sinus irrigator, has been devised for easy, feasible, and efficacious sinus irrigation. MATERIALS AND METHODS: Self-supportable sinus irrigator has two component parts. One is an irrigator part and the other is a self-supportable part. After the irrigator tip is introduced into the middle meatus beyond the uncinate process or into the maxillary sinus via the natural ostium, the irrigator part is supported by the self-supportable part. The sinuses are irrigated using normal saline. RESULTS: Two models have been devised. Type 1 irrigator was used for irrigation of the ethmoid sinus and the frontal sinus and type 2 for the maxillary sinus. Sinuses could be irrigated with minimal complications with less time-consuming efforts. Fluid collection in the maxillary sinus could be identified on Waters' view in both models. CONCLUSION: The irrigator is useful for sinus irrigation and can be practically used by outpatients. |
Keywords:
Paranasal sinusesㆍIrrigation |
교신저자:윤영석, 403-819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1동
261-6 새롬이비인후과
전화:(032)
514-7800 · 전송:(032) 515-1222 · E-mail:noseyun@yahoo.co.kr
서
론
생리 식염수를 이용한 세척은 부비동염의 주요한 치료 방법 중 하나이다.1) 이와 같은 세척은 점막의 부종을 감소시키고 점액섬모수송 능력을 증가시켜 부비동염의 치료에 도움을 준다.2)3) 그러나 이와 같은 세척이 부비동염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과 의사에게 시간적 손실이 따르는 문제점 때문에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저자는 상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효율적으로 부비동염을 치료하고자 본 기구를 고안하게 되었다.
재료 및 방법
새로운 자가지지형 세척기는 크게 세척관과 유지부로 구성된다(Fig. 1). 이 기구의 핵심인 유지부는 크게 3부분 즉, 세척관에 붙어 있는 고정부위, 스프링 탄성에 의해 움직이는 가동부위, 이 가동부위를 고정부위 쪽으로 오므려주는 활동부위로 이루어진다. 이 활동부위는 세척관을 따라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는데 폭 5 mm 정도의 돌출부위가 활동부위에 붙어 있어 손가락으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활동부위를 뒤로 후퇴시키면 가동부위가 고정부위에서 벌어지게 되고 가동부위가 비강 상부나 하부에 밀착하게 되어 이 힘으로 비강 내에서 세척관이 자가지지되게 된다(Fig. 2). 제 1 형 세척기(type 1 irrigator)는 세척관의 선단부가 고정 부위에 대하여 직선 방향으로 되어 있고 제 2 형 세척기(type 2 irrigator)는 세척관의 선단부가 고정 부위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좌 혹은 우로 휘어져 있어 좌 우 각각의 상악동 자연공에 삽입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
제 1 형 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을 할 때는 세척하기 전에 우선 1% lidocaine과 1:100,000 epinephrine이 섞은 용액을 치과용 주사기로 중비갑개가 기시하는 부위에 국소 마취를 하고 유지부의 가동부위가 고정부위 쪽으로 오므려진 상태로 세척기를 비강 내로 삽입한 후 세척관이구상돌기를 지나 중비도 내에 위치하면 활동부위를 뒤로 후퇴시켜 가동부위가 벌어지게 한다. 제 2형 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을 할 때는 상기와 같은 용액으로 상악동 자연공 부위의 비강 측벽과 중비갑개 부위에 국소마취를 하고 세척관을 상악동 자연공에 삽입한 후 활동부위를 뒤로 후퇴시켜 가동부위가 벌어지게 한다(Fig. 3).
정상인에서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여 부비동을 세척한 후 후두비부방향촬영법(Waters'
view)으로 상악동 내에 식염수가 저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 과
자가지지형 세척기는 한손으로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손으로 내시경을 잡고 중비도와 구상돌기를 정확히 관찰하면서 세척관을 중비도와 상악동 내에 정확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가동부위를 비강의 상부나 하부에 밀착시켜 세척기를 고정함으로써 강한 힘으로 세척기를 빼지 않는 한 세척기가 원하는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았다. 또한 가동부위는 연질 피복으로 싸여져 있어서 가동부위가 환자의 비강에 밀착하여도 환자가 느끼는 통증은 미미하였다. 세척관의 삽입과 지지하는 단계까지만 의사가 직접 하면 되고 그 이후 연결부에 주입장비를 연결하고 생리식염수나 항생제를 주입하는 과정은 간호사가 하면 되므로 의사가 실제적으로 관여하는 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었다. 이 기구를 사용한 후 생기는 문제로는 국소 마취를 한 부위에서 경미한 출혈이 있거나 약간의 통증만 있었으며 다른 큰 부작용은 없었다. 그리고 중비갑개의 심한 비후로 인하여 중비도가 좁은 경우에는 사용하는데 다소의 어려움이 있었다.
제 1 형과 2형 세척기 모두에서 세척 후 세척에 사용하였던 생리식염수가 상악동 내에 저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s. 4 and 5).
고 찰
부비동 세척은 부비동염의 치료에 있어 주요한 방법 중 하나이나1) 환자들에게 통증과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치료 효과는 부비동 세척이 좋아서,4) 약물요법으로는 치료가 잘 되지 않거나 수술적 치료를 두려워하거나 시간적 제약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는 부비동 세척이 권장된다.5)6)
부비동 세척 방법에는 프로엣쯔(Proetz) 방법과 상악동 천자방법, 그리고 세척관을 이용하여 부비동을 세척하는 방법 등이 있다.7) 이들 중 프로엣쯔 방법은 시술시 환자에게 고통이 많이 따르고 과도한 환자의 움직임과 작은 부종이나 저항에도 효과가 감소되는 단점이 있으며8) 상악동 천자는 점막의 손상과 천자침이 눈으로 들어가 공기전색을 일으킬 우려가 있고 세척관을 이용한 부비동 세척은 환자가 불편함을 많이 호소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저자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 좀 더 쉽고 효율적으로 부비동을 세척하고자 본 기구를 고안하게 되었다. 이 기구는 가동부위가 비강의 상부나 하부에 밀착함에 따라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서 세척관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이 가동부위는 연질 물질로 피복되어 있어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다. 시술시 한쪽 손의 엄지와 검지로 연결구를 잡고 같은 손의 중지로 활동부위에 붙어있는 돌출부위를 뒤로 당겨서 활동부위를 이동시키므로 한 손으로도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탄성력으로 고정되므로 콧구멍의 크기에 관계없이 세척관을 지지할 수 있다.
중비도 내의 점막이 부어 있거나 비용모양(polypoid) 변화를 한 경우에는 비세척이나 비강 내 치료만으로는 부비동에 대한 치료가 안 되므로 이 기구의 사용이 효과적일 수 있다. 제 1 형과 제 2 형 세척기 모두에서 세척 후 상악동 내에 세척액의 저류가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점막이 심하게 부어있지 않다면 제 1 형 세척기를 이용한 세척만으로도 상악동염까지 치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부비동 내시경수술은 ostiomeatal unit(OMU)에 대한 수술을 통해 부비동에 대한 환기와 배출을 도모하면 궁극적으로 부비동 내의 점막이 정상으로 돌아온다는 이론9)에 근거를 두는데 제 1 형 세척기는 이 부위에 대한 세척과 치료를 중점적으로 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심한 부비동염에 있어서도 치료 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비갑개의 지나친 비후 등으로 중비도가 심하게 좁은 경우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나 기자(elevator)등으로 중비도를 확보한 상태에서 시술하는 경우에 세척은 가능하다. 아직까지 치료 성적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가 미흡하여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항생제 치료에 잘 낫지 않는 부비동염 환자에서 증상의 호전이 관찰되어 부비동염의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되며 본 기구가 부비동염으로 고생하는 환자들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결 론
본 세척기는 세척관을 환자의 비강을 통해 OMU나 상악동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자가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세척 시술이 간편하고 환자의 불편이나 통증과 출혈 등 합병증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의사와 간호사의 역할을 적절하게 분배할 수 있어 그만큼 의사가 직접 관여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서 실제적으로 부비동염으로 고생하는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특히 일차적으로 부비동염을 치료하는 개원의 선생님들께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REFERENCES
-
Healthy DG, McConnell KE, Kille TL, Leverson GE. Nasal irrigation for the alleviation of sinonasal symptoms.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1;125:44-8.
-
Talbot AR, Herr TM, Parsons DS. Mucociliary clearance and buffered hypertonic saline solution. Laryngoscope 1997:107:500-3.
-
Homer JJ, England RJ, Wilde AD, Harwood GR, Stafford ND. The effect of pH of douching solutions on mucociliary clearance. Clin Otolaryngol 1999;24:312-5.
-
Negley JE, Krause H, Pawar S, Reeves-Hoche MK. Rhino-Flow nasal wash and sinus system as a mechanism to deliver medications to the paranasal sinuses: Results of a radiolabeled pilot study. Ear Nose Throat J 1999;78:550-2.
-
Olson DE, Rasgon BM, Hilsinger RL Jr. Radiologic comparison of three methods for nasal saline irrigation. Laryngoscope 2002;112:1394-7.
-
Bachmann G, Hommel G, Michel G. Effect of irrigation of the nose with isotonic salt solution on adult patients with chronic paranasal sinus disease.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0;257:537-41.
-
Lund VJ, Aaronson D, Bousquet J, Duhl R, Davies RJ, Durham SR, et al.
International Consensus. Report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rhinitis: International Rhinitis Management Working group. Allergy 1994;49:1-34.
-
Nuutinen J, Holopainen E, Haahtela T, Ruoppi P, Silvasti M. Balanced physiological salin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rhinitis. Rhinology 1986;24:265-9.
-
Guo Y, Majima Y, Hattori M, Seki S, Sakakura Y. Effects of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on maxillary sinusitis mucosa.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7;123:1097-10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