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7(9); 2004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4;47(9): 939-941.
A Case of Choanal Polyps Originating in the Both Sphenoid Sinuses.
Dong Young Kim, Bo Young Kim, Jae Ryong Kim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ong-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Korea. kimdy@daunet.donga.ac.kr
양측 접형동에서 기원한 후비공 용종 1예
김동영 · 김보영 · 김재룡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주제어: 접형동비용종.
ABSTRACT
Sphenochoanal polyp is a rare entity which originates in the sphenoid sinus cavity and extends into the choana via the ostium. Symptoms associated with sphenochoanal polyp include nasal obstruction and headache. Endoscopic examination reveals the presence of a choanal polyp, and the sphenoid origin of the polyp can be determined by CT scan. Sphenochoanal polyp cannot be distinguished from antrochoanal polyp by histological findings. The treatment of the sphenochoanal polyp involves the enlargement of the sphenoid sinus ostium and complete surgical removal. We present a case of bilateral sphenochoanal polyps with the review of the clinical, radiolog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Keywords: Sphenoid sinusNasal polyps

교신저자:김동영, 603-102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3가 1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51) 240-5428 · 전송:(051) 253-0712 · E-mail:kimdy@daunet.donga.ac.kr

서     론


  
후비공 용종은 비강의 후측과 비인강을 채우는 양성의 단일 용종으로, 대개는 상악동에서 기원하여 자연 개구부를 통과한 후 후비공까지 진행한다.1) 비부비동 용종의 4
~6%가 후비공 용종으로 상악동, 사골동 또는 접형동에서 발생한다.1)2) 그러한 후비공 용종 중 접형동에서 기원한 것은 매우 드물며, 양측성 접형동 후비공 용종은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최근 저자들은 양측성 접협동 후비공 용종으로 진단된 1예를 부비동 내시경 수술로 치료하였기에 이에 대한 치험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13세 남자 환자가 2개월 전부터 시작된 양측 비폐색과 화농성 비루를 주소로 내원 하였다. 비내시경검사 상 양측 후비강 전체를 채우는 연분홍색의 용종, 화농성 분비물과 양측 하비갑개 비후가 관찰되었다(Fig. 1). 양측 비강 내 용종은 후측으로 진행하여 양측 후비공을 폐쇄시키고 비인강을 채우고 있었다. 양측 중비도에는 병적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고, 양측 중이 내 병변도 없었다. 부비동 전산화 단층 촬영 상 양측 접형동에 혼탁 소견이 보였고 병변은 후하방으로 후비공과 비인두까지 진행하였으며, 좌측 상악동에도 혼탁 소견이 보였다(Fig. 2). 그 외 우측 상악동, 사골동, 전두동의 혼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양측성 접형동 후비공 용종 진단 하에 양측 부비동 내시경 수술을 전신 마취 하에 시행하였다. 양측 접형동 각각의 점막에서 기원하는 폴립으로 접형동 자연 개구부를 통과하여 비강을 채우고 비인강까지 진행하고 있었다. 우선적으로 흡입절삭기를 이용하여 후비공과 비인강 부위의 용종을 제거하였다. 경상비도 접근법(trans-superior meatal approach)을 이용하여 접형동으로 접근하기 위해서 좌측 중비갑개와 상비갑개의 아래쪽 일부를 절제하였고, 우측은 중비갑개 절제 없이 상비갑개의 일부만 절제한 후 접형동으로 접근하였다. 양측 접형동 자연 개구부를 넓힌 후 용종의 기시부와 함께 나머지 전체 용종을 제거하였고 양측 하비갑개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술 중 동결 절편 검사와 영구 조직 검사 상 양성 용종의 소견을 보였다.
   수술 3개월 후인 현재까지 환자는 외래 추적 관찰 중이며 증상은 소실되었고 재발은 관찰되지 않고 있다.

고     찰

   접형동 후비공 용종은 매우 드문 형태의 용종으로 Zuckerandle에 의해 처음 보고 되었다.3)4) 그 이후 14편의 논문에서 34예가 보고 되었고,3)4)5)6)7)8)9)10)11)12)13)14)15)16) 모두 일측성 접형동 후비공 용종의 보고였다.
   상악동 후비공 용종의 병리학적 소견은 용종 중심의 낭종 주위에 염증세포가 침윤한 부종성의 기질이 있으며 용종의 가장자리는 호흡 상피로 둘러싸여 있다.5)6) 접형동 후비공 용종의 병리학적 소견도 상악동 후비공 용종과 크게 다르지 않다.6)7)
   발병기전으로 Mills 등17)은 후비공 용종은 부비동염이 치유되는 과정에서 점액선의 폐쇄와 파열로 인해 생긴 점액 낭종의 팽창으로 인해 발생한다고 보고하였고, Berg 등18)은 부비동의 벽내 낭종의 팽창(expansion of an intramural cyst)으로 발생한다고 하였다. 이 또한 접형동 후비공 용종과 상악동 후비공 용종에서 차이가 있다는 증거는 없다.
   병리학적 소견과 발병기전이 상악동 후비공 용종과 접형동 후비공 용종에서 큰 차이가 없으므로 임상 증상, 비내시경, 그리고 부비동 전산화 단층 촬영 등의 임상적 수단이 접형동 후비공 용종의 진단에 유용하다.3)6)8) 환자의 증상은 비강과 후비공의 폐쇄로 인한 비폐색, 접형동의 폐쇄로 인한 두통이 흔하고, 그 외의 증상으로 비루, 코골이, 이충만감 등이 동반될 수 있다.3)7) 비내시경 소견은 비강 내 용종이 후비공을 폐쇄시키고 비인강을 채우는 소견을 보이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임상 증상과 비내시경 소견만으로 상악동 후비공 용종과 접형동 후비공 용종을 구분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부비동 전산화 단층 촬영은 접형동 후비공 용종의 진단에 필수적이다. 부비동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는 접형동을 채우는 혼탁한 병변이 후비공에서 비인강까지 진행하고 있고, 다른 사골동, 전두동, 상악동은 정상 함기화를 보인다.9) 단, 비강까지 진행한 용종으로 중비도가 폐쇄되어 상악동 혼탁소견을 보일 수 있어서 용종의 기시부를 구별하는데 혼란을 줄 수 있다.3)6) 이 증례에서도 양측 접형동에 혼탁 소견 보였고 병변은 아래로 진행하여 후비공과 비인두까지 진행하였으며, 좌측 상악동에 혼탁 소견 보였다.
   감별 진단해야 할 질환으로는 상악동 후비공 용종, 반전성 유두종, 비후된 아데노이드, 혈관 섬유종, 림프종 등이 있다.3) 자기공명 영상은 악성 종양과의 감별에 도움이 될 수 있다.3)
   접형동 후비공 용종의 치료는 비내시경 하에 접형동 자연 개구부를 넓힌 후 접형동 내의 용종 기시부를 찾아 완전 제거하는 것이 최상의 치료이다.4)7) 하지만, 접형동 후비공 용종은 상악동 후비공 용종보다 중비도 접근법(middle meatus approach)으로 수술하기가 더 어렵고, 접형동 주위에 내경동맥과 시신경이 있어서 수술시 더 위험하다.6) 그리고, 후비공 용종이 일반적으로 소아나 청소년에서 많이 발생되는 점을 고려할 때, 아동들 수술에 있어서 아직 발달되지 않은 접형동으로 인해 접형동을 넓게 개구시키거나 접형동 내 병변을 완전히 제거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6) 이 증례는 드물게 발생하는 접형동 후비공 용종 중 양측성으로 발생한 경우로 내시경 부비동 수술로 부작용 없이 완전 제거 하였고 현재 증상 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REFERENCES

  1. Hong SK, Yoo YS, Shin YR, Chung SW. Choanal polyp originating from the ethoid sinus: Ethmochoanal polyp? Korean J Otolaryngol 2002;45:921-5.

  2. Chen JM, Schloss MD, Azous ME. Antrochoanal polyp: A 10-year retrospective study in the pediatric population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Otolaryngol 1989;18:168-72.

  3. Tosun F, Yetiser S, Akcam T, Ozkaptan Y. Sphenochoanal polyp: Endoscopic surgery.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2001;58:87-90.

  4. Ileri F, Koybasioglu A, Uslu S. Clinical presentation of a sphenochoanal polyp. Eur Arch Otorhinolaryngol 1998;255:138-9.

  5. Lopatin A, Bykova V, Piskunov G. Choanal polyps: One entity, one surgical approach? Rhinology 1997;35:79-83.

  6. Crampette L, Mondain M, Rombaux P. Sphenochoanal polyp in children. Diagnosis and treatment. Rhinology 1995;33:43-5.

  7. Dadas B, Yilmaz O, Vural C, Calis AB, Turgut S. Choanal polyp of sphenoidal origin.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0;257:379-81.

  8. Yanagisawa K, Ho SY, Yanagisawa E. Endoscopic view of a sphenochoanal polyp. Ear Nose Throat J 2000;79:546-8.

  9. Weissman JL, Tabor EK, Curtin HD. Sphenochoanal polyps: Evaluation with CT and MR imaging. Radiology 1991;178:145-8.

  10. Lessa MM, Voegels RL, Padua F, Wiikmann C, Romano FR, Butugan O. Sphenochoanal polyp: Diagnose and treatment. Rhinology 2002;40:215-6.

  11. Wang ZM, Kanoh N, Dai CF, Kutler DI, Xu R, Chi FL, et al. Isolated sphenoid sinus disease: An analysis of 122 cases. Ann Otol Rhinol Laryngol 2002;111:323-7.

  12. De Vuysere S, Hermans R, Marchal G. Sinochoanal polyp and its variant, the angiomatous polyp: MRI findings. Eur Radiol 2001;11:55-8.

  13. Soh KB, Tan KK. Sphenochoanal polyps in Singapore: Diagnosis and current management. Singapore Med J 2000;41:184-7.

  14. Sethi DS. Isolated sphenoid lesions: Diagnosis and management.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9;120:730-6.

  15. Lopatin AS, Bykova VP, Artsybasheva MV. Choanal polyps: Principles of current diagnosis and treatment. Vestn Otorinolaringol 1997;1:8-12.

  16. Hayes E, Lavelle W. Sphenochoanal polyp: CT findings. J Comput Assist Tomogr 1989;13:365-6.

  17. Mills CP. Secretory cysts of the maxillary antrum and their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antrochoanal polyp. J Laryngol Otol 1959;73:324-34.

  18. Berg O, Carenfelt C, Silfversward C, Sobin A. Origin of the choanal polyp.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8;114:1270-1.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