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8(2); 2005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5;48(2): 195-198.
Change of Nasal Dimension and Resistance with Aging in Korean.
Ji Hun Mo, Dong Hwan Roh, In Sang Kim, Yang Gi Min, Chul Hee Lee, Chae Seo Rhee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csrhee@snu.ac.kr
한국인에서 연령에 따른 비강면적 및 비저항의 변화
모지훈 · 노동환 · 김인상 · 민양기 · 이철희 · 이재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주제어: 비강연령음향비강통기도검사비기압계검사.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It is often observed that the nasal cavity becomes atrophic with old age. However, there is no exact data that prove senile atrophic changes in the nasal cavity. Thus we evaluated the effect of aging on the dimension and the resistance of the nasal cavity.
SUBJECTS AND METHOD:
One hundred twelve healthy subjects free of nasal diseas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coustic rhinometry and rhinomanometry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nasal decongestion.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6 age groups and cross-sectional area (CSA) measured by acoustic rhinometry and the total nasal resistance were analyzed by rhinomanometry among each group.
RESULTS:
The average value of CSA at the nasal valve area increased slightly with ag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nasal decongestion. The average values of CSA at the attachment of the inferior turbinate before and after decongestion were on the increase with age. However, the difference of CSA between pre- and post-decongestion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ith age. Rhinomanometry showed that nasal resistance markedly decreased from twenties and thirties bu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fter the thirty decade.
CONCLUSION:
The dimension of nasal cavity increases and the nasal resistance decreases with age. The increased dimension of the nasal cavity in old age might be attributed to the structural change such as bony atrophy rather than mucosal change.
Keywords: Nasal cavityAgingAcoustic rhinometryRhinomanometry

교신저자:이재서, 110-744 서울 종로구 연건동 28번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2) 2072-3991 · 전송:(02) 766-2447 · E-mail:csrhee@snu.ac.kr

서     론


  
노화는 생체의 형태와 기능에 변화를 일으키는 기본적인 생리현상으로 유전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요소, 외상, 질환 등이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다른 기관과 마찬가지로 코도 노화의 과정을 거친다. 다른 기관이나 조직의 연령에 따른 변화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코의 노화에 관한 연구는 피부의 변화, 후각 또는 맛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고 나이에 따른 비강의 변화에 대한 문헌은 드물다.1)2)3) 
   노인의 비강을 관찰하면 위축성 변화가 심한 경우를 흔히 관찰할 수 있다. 연령의 증가에 따라 비강 조직이 위축성 변화로 인하여 비강의 체적이 넓어질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시행된 바 없고, 또 연령에 따른 비강의 변화에 관한 연구 자체가 흔치 않다. 1996년 Edelstein이 연령에 따른 코의 변화에 관하여 광범위한 연구를 하여 연령의 증가에 따라 비저항이 증가하고 비기류의 변화는 없다고 보고하였으나 비강의 면적에 관한 연구는 시행되지 않았다.4)
   본 연구는 연령에 따른 비강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음향비강통기도검사(acoustic rhinometry)와 비기압계검사(rhinomanometry)를 이용하여 비강의 면적과 저항의 변화를 알아보고 평가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  상
  
본 연구는 2003년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를 방문한 외래 환자 중 정상자원자 1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부비동에 관련된 증상이 있는 경우, 비중격 만곡증이 있거나 비부비동에 관한 수술을 받은 경우, 알레르기 비염을 포함한 비염이 있는 경우, 상기 질환 외의 비부비동 질환이나 문제가 있는 경우, 최근 1개월 이내 약물복용력이 있거나 감기 등의 감염이 있는 경우, 수면 문제가 있는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대상군은 남자 46명, 여자 66명이었다. 대상군의 연령에 따른 분포는 Table 1과 같다. 
   대상군은 모두 오전에 내원한 후 약 20분 정도 휴식을 취한 다음 비점막수축제를 뿌리지 않고 음향비강통기도검사와 비기압계검사를 하였다. 비점막수축제인 1% 페닐에프린을 투여한 후 15분 뒤에 다시 음향비강통기도검사와 비기압계검사를 하였다. 
   검사실의 온도와 습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었고, 소음의 정도도 음향비강통기도검사에 적합하도록 제조회사의 기준에 맞추어 시행하였다. 

음향비강통기도검사
  
음향비강통기도 검사기계는 Ecco Vision(E. Benson Hood Lab inc, MA, USA)을 사용하였고, 피검자는 의자에 앉아서 머리를 반듯이 한 다음 공기가 새지 않고 코에 잘 맞는 관(nosepiece)을 비공에 잘 맞춘 다음 각각의 비공에 3회 검사를 시행하였다. 비강단면적은 음향비강통기도검사에서 제 1 절흔과 제 2 절흔 부위를 CSA(cross sectional area) 1과 CSA 2로 정의하여 측정하였다. 대개 CSA1은 Ⅰ-notch라고도 하며 비협부(nasal isthmus) 또는 비밸브(nasal valve)에 해당하는 위치이고, CSA2는 C-notch라고도 하며 중비갑개의 전단부위에 해당한다. 좌측과 우측의 CSA를 합한 다음 연령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였다.

비기압계검사
  
비기압계검사는 능동적 전방비기압계검사기인 Rhinotest MP500(Brehm & Jung GmbH, Germany)을 사용하였고, 대상군은 자발적인 비호흡을 하도록 한 다음 기류량과 압력을 측정하였다. 150 pascal에서의 압력을 이용하여 비저항을 계산하였고 총저항은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Total Resistance=1/(1/RRight+1/Rleft)
   총저항과 기류량의 변화를 연령군에 따라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
  
데이터 분석은 연령군에 따른 변화를 one-way ANOVA(analysis of varian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령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분석(Post Hoc test)으로 Duncan법을 이용하였다. p값이 0.05 이하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판정하였고, 통계프로그램으로는 SPSS(ver 10.5)를 사용하였다.

결     과

CSA 1:
   CSA1은 연령의 변화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지만 연령에 증가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0대에서 20대로 되면서 CSA1은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이후에는 커다란 변화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10대에서는 수축 전 양쪽비강면적의 합이 0.72±0.07 cm2에서 60대에서는 1.00±0.07 cm2으로 면적이 약간 증가하였다(p<0.05)(Fig. 1).
   남녀 모두 같은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비점막수축 전후 모두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점막수축에 의한 단면적의 변화는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CSA 2:
   CSA2는 연령에 따라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남녀 모두 연령에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였고, 비점막 수축 전과 후에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단면적이 증가하였다(p<0.05). 그러나 비점막 수축 전과 수축 후의 단면적의 차이는 성별에 관계없이 연령에 따라 증가하지 않고 일정함을 보여주고 있다(Fig. 2).

비저항 
   비저항은 10대에서 20대로 되면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20대 이후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이 비슷한 값을 보여주었다. 성별이나 비점막수축의 여부에 상관없이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었다(Fig. 3).

비기류 
   비기류는 10대에서 20대로 되면서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20대 이후에는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비점막의 수축여부와 상관없이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Fig. 4).

고     찰

   음향비강통기도검사는 반사되는 음파를 측정해 비강의 단면적을 측정하는 유용한 검사로 검사가 비침습적이고, 빠르고 용이하며, 비폐색, 비중격만곡 등 임상적인 분야에 적용하기 쉬워 실제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연구되고 있다. 비기압계검사는 비강을 통한 기류의 양과 그 기류를 형성시키는 비인강과 대기사이의 압력차를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비강기도의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비강기도의 기계적 폐쇄정도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검사 중 대표적인 것이다.
   상기 검사법을 이용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연령에 따른 비강의 면적이나 저항 등의 변화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정상인 197명을 대상으로 연령군을 어린이(5
~12세), 청소년(13~19세), 어른(20세 이상)의 세 군으로 나누어 비저항과 비강단면적을 측정한 연구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비저항이 감소하고 비강의 단면적이 증가하였다.5) 본 연구에서도 10대에서 20대로 가면서 비저항의 현저한 감소가 있었고, 연령이 증가하면서 비강의 단면적이 증가함을 보였다. 그러나 이전 연구에서는 연령군을 세분화하지 않고 어른을 20세 이상으로 나누어 20세 이상의 성인에서의 비강단면적 및 저항의 변화를 관찰하지 못했다.5) 본 연구에서는 성인군에서 연령군을 세분화하여 노화에 따른 비강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연령증가에 따라 비강단면적은 증가하였고 비저항은 유지되었다.
   정상인 109명을 대상으로 비기압계검사를 시행한 연구에 의하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비저항이 증가하지만 비기류는 별다른 변화가 없다고 보고하였지만,4) 본 연구에서는 10대에서 20대로 되면서 비저항이 급격히 감소한 후 그 이후로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비저항과 단면적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기도면적이 0.4 cm2 이하인 경우는 면적이 저항에 밀접한 영향을 끼치지만 그 이상이 되면 별 영향이 없다고 한다.6) 따라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비강단면적의 증가로 비저항이 어느 정도 감소하지만, 일정 범위를 넘어서면 비저항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다. 연령이 증가하면 비강의 단면적이 커지는데, 10대에서 20대로 가면서 비저항이 감소하나 20대 이후에 어느 면적 이상으로 비강단 면적이 커지면 비저항이 증가하기보다는 감소하거나 변화가 없는 것이 더 논리적으로 타당할 것으로 생각한다. 
   CSA1은 Ⅰ-notch, 혹은 제 1 절흔이라 불리며, 해부학적으로 비전정이 끝나는 부분으로, 수축가능한 조직(erectile tissue)이 거의 없기 때문에 비점막수축에 따른 면적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본 연구결과도 이것과 일치한다. 
   CSA2는 C-notch, 제 2 절흔, minimal cross sectional area(MCA) 2라 불리우며 하비갑개의 전반 1/2, 중비갑개의 전단에 해당하는 부위로7) 수축 전 후 모두 양측비강면적의 합이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고 수축 전후의 면적의 차가 CSA1에 비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MRI를 이용하여 비수축 전후의 수축가능한 조직의 분포를 조사한 연구에 의하면 하비갑개, 중비갑개와 비중격이 수축가능하다고 하였다.8) CSA2의 위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비갑개의 전반 1/2, 중비갑개의 전단에 해당하는 부위로 수축 가능한 조직이 많은 부위임을 알 수 있고, 본 연구에서도 이것이 잘 드러나고 있다. 
   하지만 연령에 따른 수축 전후의 CSA2 면적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연령에 따라 수축하는 정도는 변화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즉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비강의 단면적은 증가하지만 수축 가능한 조직은 변화가 없다는 점에서 연령의 증가에 따른 뼈를 포함한 구조적인 부위의 위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CSA2에서 연령에 따라 점막 수축 전후의 변화가 일정하다는 점은 비점막의 수축능이 정상적으로 유지가 되는 것을 의미하며, 뼈 또는 다른 구조적 부위의 위축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외 연령의 증가에 따라 비강의 성장이 지속적으로 일어나 비강의 단면적이 증가할수도 있다. 하지만 뼈의 성장이 보통 20세 전후에 멈추기 때문에 성장의 가능성은 떨어진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단층촬영에서 얻어진 하비갑개 전단부위에서 비골을 포함한 비강의 전체면적과 음향비강통기도검사에서 얻어진 면적의 비율을 비교해 보면 연령에 따른 비강단면적의 증가의 원인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비기류는 다른 측정치에 비해 다소 변동이 심하고 성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10대에서 20대에 비기류가 증가하고 이후에는 변화가 없었다. 이는 비기압계검사가 음향비강통기도검사에 비해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는 점에 기인할 것으로 생각한다. 비기류의 측정값이 여러 가지 변수 예를 들면 비주기, 비강의 분비물, 검사실 온도, 습도, 검사실시 시각, 인종, 성별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비기압계 검사는 해석할 때 특히 주의를 요한다. 

결     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비강의 단면적은 성별, 비점막수축 여부에 관계없이 증가하지만, 비점막수축전후의 비강의 단면적의 차, 즉 수축가능한 조직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이 일정함을 보였다. 연령 증가에 의한 비강 단면적 증가의 원인으로 비강내 수축 가능한 조직 이외의 구조적인 조직의 위축 등을 유추해 볼 수 있다. 


REFERENCES

  1. Patterson CN. The aging nose: Characteristics and correction. Otolaryngol Clin North Am 1980;13:275-312.

  2. Koopmann CF Jr, Coutland SW. The oral cavity and aging. Otolaryngol Clin North Am 1982;15:293-312.

  3. Goldstein JC, Kashima HK, Koopmann CF Jr. Geriatric Otorhinolaryngology. 1st ed. Toronto: B.C. Decker Inc;1989.

  4. Edelstein DR. Aging of the normal nose in adults. Laryngoscope 1996;106:1-25.

  5. Vic PS, Zajac DJ. Age and gender effects on nasal respiratory function in normal subjects. Cleft Palate Craniofac J 1993;30:279-84.

  6. Warren DW, Hairfield WM, Seaton DL, Hinton VA. The relationship between nasal airway cross-sectional area and nasal resistanc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7;92:390-5.

  7. Mamikoglu B, Houser SM, Corey JP. An interpretation method for objective assessment of nasal congestion with acoustic rhinometry. Laryngoscope 2002;112:926-9.

  8. Ng BA, Ramsey RG, Corey JP. The distribution of nasal erectile mucosa as visualiz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Ear Nose Throat J 1999;78:159, 163-6.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