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8(5); 2005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5;48(5): 680-682.
A Case of Osteoma between the Malleus and Incus.
Sang Ryul Kim, Do Hoon Kim, Jung Bae Choi, Jae Wook Eom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School of Medicine,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Busan, Korea. iment1@yahoo.co.kr
추골과 침골 사이에 발생한 중이 골종 1예
김상렬 · 김도훈 · 최정배 · 엄재욱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주제어: 골종중이이소골.
ABSTRACT
We present a case of osteoma that was diagnosed incidentally in the middle ear. Osteomas are benign tumors and may occur as a solitary lesion in the squama, mastoid, middle ear and petrous pyramid. Even though osteomas in the middle ear are extremely rare, those lesions may be one of the causes of the conductive hearing loss by impinging upon the ossicular chain. There are only 22 cases of osteoma reported in the medical literature to date. In most patients, the diagnosis is confirmed by CT scan or at the time of surgery. CT scanning of these disorders is very useful, especially in examining the extent of the lesion and detailed bone destruction.
Keywords: OsteomaMiddle earOssicle

교신저자:김상렬, 614-735 부산광역시 진구 개금1동 633-165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전화:(051) 890-6376, 6375 · 전송:(051) 892-3831 · E-mail:iment1@yahoo.co.kr

서     론


  
골종은 천천히 성장하는 양성종양으로 두경부영역에서는 주로 하악골과 부비동에서 발생하며, 중이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중이 골종은 이과적 증상을 거의 유발하지 않고, 악성화의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임상적인 중요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이에 발생한 골종으로 인한 증상은 골종의 발생 위치에 따라 이소골 연쇄에 영향을 미쳐 생기는 전음성 난청이 가장 흔하게 보고되고 있다.1)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는 특별한 증상 없이 우연히 진단되어 지는 경우가 많다. 세계적으로 추골 혹은 침골을 침범한 골종은 단 2예가 보고되고 있는 매우 드문 종양이며, 특히 추골과 침골 사이에 발생한 골종은 현재까지 보고 된 바 없다.2)3) 저자들은 만성중이염 수술 도중 우연히 발견된 추골과 침골 사이에 발생한 골종 1예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36세 여자환자가 좌측 귀의 난청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이명이나 전정기능 장애를 호소하지는 않았으며, 과거력상 외상이나 수술병력은 없었다. 이학적 검사상 좌이 고막긴장부에 작은 크기의 천공이 관찰되었고, 순음 청력 검사상 좌이에서 경도의 전음성 난청 소견을 보였다(Fig. 1). 측두골 컴퓨터단층촬영상 골종으로 의심되는 경계가 분명한 난원형의 골 종괴가 추골병과 침골의 장각에 유착되어 있었으며, 침등관절은 정상소견을 보였다(Fig. 2). 전신마취하에 고실유양돌기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고실외이도 피부판을 거상하여 추골과 침골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단단한 백색 종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측두골 컴퓨터단층촬영 소견과 같이, 종괴는 추골병과 침골 장각 사이에 유착되어 있었고, 침등관절은 침범하지는 않았다. 종괴는 인접 이소골 연쇄에 손상을 주지 않고 쉽게 제거 되었으며, 고막천공 부위에는 측두근막을 이식하였다. 병리조직검사상, 섬유혈관성 조직과 이를 둘러싼 층판골을 관찰 할 수 있었고, 상기의 소견에 의해 골종으로 확진되었다(Fig. 3). 
   수술 후 특별한 합병증은 보이지 않았으며, 술 후 시행한 순음 청력검사에서 전음성 청력장애의 개선을 보였다.

고     찰

   중이 골종은 세계적으로 22예만이 보고된 매우 드문 질환으로,4) 이들 중 아시아계 환자에게 발생하여 보고된 것은 단 2예에 불과하며,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 없다. 특히 중이 골종 중 침골과 추골 사이에 침범한 골종은 세계적으로 보고된 바가 없다. 
   중이 골종은 갑각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여, 이소골 연쇄에 영향을 미쳐 전음성 난청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이소골에 유착된 중이 골종은 쉽게 분리·제거 되어지며, 보고된 22예 중 단 2예만이 제거가 용이하지 않았다고 보고되었다. 저자들이 경험한 추골과 침골 사이에 발생한 골종을 가진 환자 역시 경도의 전음성 난청 소견을 보였으나, 환자는 만성중이염에 함께 이환되어 있어, 골종에 의한 전음성 난청 소견임을 증명할 방법은 없었다.
   중이 골종은 측두골 컴퓨터단층촬영과 외과적 절제에 의해 확진된다. 측두골 컴퓨터단층촬영에서 골종은 특징적으로 이소골 혹은 갑각에 유착되어 있는 주위와 경계가 명확한 경화성 종괴로 나타난다.4) 본 증례의 경우도 이소골 연쇄를 침범하면서 경계가 명확하고 둥근 모양의 전형적인 골종의 형태가 측두골 컴퓨터단층촬영에서 관찰되었다. 중이 골종이 이과적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이상 외과적 절제의 필요성은 없으며, 만약 골종에 의한 청력 장애가 있을 때 수술적 처치를 통해 조심스럽게 제거해야 한다.6) 그러나, 이과적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중이 골종 환자라 하더라도, 정기적 추적 관찰을 통한 증상 발현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골종의 생성기전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부분이 알려져 있지 않으나, 감염, 외상, 혈관 이형성으로 인한 반응성 골증식이 병소를 만들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골종 생성이 촉진된다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증례의 경우, 원형의 종괴는 이소골로부터 쉽게 분리되었을 뿐만 아니라 병리학적으로 피막에 의해 잘 싸여져 있는 소견을 보였고, 만성 중이염의 소견 또한 함께 발견 할 수 있어, 골종이 반응성 골증식 뿐만 아니라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유추할 수 있었다.


REFERENCES

  1. Greinwald JH Jr. Simko EJ. Diagnosis and management of middle ear osteomas: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Ear Nose Throat J 1998;77:134-6, 138-9.

  2. Chang CY, MacMillan C, Kamerer DB, Lipman SP, Barnes L. Osteoma of the malleus.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7;117:S150-3.

  3. Milroy CM, Phelps PD, Michaels L, Grant H. Osteoma of the incus. J Otolaryngol 1989;18:226-8.

  4. Shimizu T, Okamoto K, Majima Y. Osteoma of the malleus: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Am J Otolaryngol 2003;24:239-41.

  5. Britt JC, Hood RJ, Hashisaki GT. Round Window obliteration by osteoma of the middle ear.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0;123:514-5.

  6. Unal OF, Tosun F, Yetiser S, Dundar A. Osteoma of the middle ear.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2000;52:193-5.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1,480
View
12
Download
Related articles
A Case of Myxofibrosarcoma in the Maxillary Sinus  2024 June;67(6)
A Case of Cholesterol Granuloma in the Nasal Septum  2023 December;66(12)
A Case of Pleomorphic Adenoma of the Nasal Ala  2021 October;64(10)
A Case of Fibrolipoma of the Nasal Septum  2020 October;63(10)
A Case of Lipoma in the Middle Ear  2019 July;62(7)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