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50(11); 2007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7;50(11): 996-1000.
Effects of Interleukin-18 on Allergic Response of Mouse Model.
Yeo Hoon Yoon, Wook Kyoung Han, Seok Won Park, Yong Min Kim, Ki Sang Rha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aejeon, Korea. ksrha@cnu.ac.kr
2Department of Otolaryngology, Dongk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Goyang, Korea.
마우스 기도 알레르기 모델에서 Interleukin-18의 투여가 알레르기 반응에 미치는 영향
윤여훈1 · 한욱경1 · 박석원2 · 김용민1 · 나기상1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1;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2;
주제어: 알레르기기도IL-18.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imbalance between a Th1 response and a Th2 response may be one feature of allergic diseases' pathophysiology. IL-18, originally called the IFN-gamma inducing factor, stimulates both Th1 and Th2 responses depending on cytokine milieu.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effect of intranasal and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IL-18 in mice with experimentally induced airway allergy.
MATERIALS AND METHOD:
Female BALB/c mice were systemically sensitized with ovalbumin mixed with aluminum hydroxide and were challenged with the intranasal instillation of ovalbumin. IL-18 was instilled to nasal cavities or injected into peritoneum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provocation test,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was collected and IL-4, IL-5, IL-18 and IFN-gamma were measured. The degree of eosinophilic infiltration were evaluated at the peribronchial region of the lung specimen.
RESULTS:
The concentration of IL-4 and IL-5 within BALF and peribronchial infiltration of eosinophils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in the groups treated with IL-18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intranasal instillation of IL-18 suppressed Th2 cytokines more effectively than the intraperitoneal injectio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allergic inflammation can be suppressed with the intranasal instillation of IL-18.
Keywords: AllergyAirwayInterleukin-18

교신저자:나기상, 301-721 대전광역시 중구 대사동 640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교신저자:전화:(042) 220-7698 · 전송:(042) 253-4059 · E-mail:ksrha@cnu.ac.kr

서     론


  
알레르기 비염, 기관지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 기도질환은 면역학적 기전에 의한 과민반응의 결과로 상기도와 하기도에 발생한 염증성 질환이다. 비만세포, 호중구, 림프구, 호산구 등 다양한 염증세포와 이들에서 분비되는 히스타민, 류코트리엔, 혈소판 활성인자(platelet activating factor) 등의 매개물질, TNF-α, IL-4, IL-5, IL-12, IL-13 등의 사이토카인, ICAM-1, ICAM-2, VCAM-1 등의 접착분자, RANTES, eotaxin, MCP-3 등의 케모카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IL-18은 1995년 Okamura 등7)에 의해 IFN-γ의 생성을 유도하는 물질로 처음 보고되었으며, IL-12와 함께 IFN-γ의 분비를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Th1 반응을 항진시키고 숙주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그러나 IL-18 단독으로 호산구의 침윤과 같은 알레르기 염증반응을 증가시키는 작용, 즉, Th2 반응도 항진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어 있어 IL-18의 면역학적 양면성과 그 기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8,9,10,11) 
   본 연구에서는 난알부민 감작을 이용한 마우스 기도 알레르기 모델에서 IL-18의 복강 및 비강 내 투여가 각기 알레르기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기관지폐포세정액 내의 사이토카인 정량분석 그리고 기도점막의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 동물 및 실험군
  
무병상태로 사육된 6주령의 암컷 BALB/c 마우스 32마리를 사용하였다. 음성대조군(A군), 기도 알레르기를 유발한 양성대조군(B군), 유발단계에서 복강 내에 IL-18을 투여한 알레르기군(C군), 유발단계에서 비강 내로 IL-18을 투여한 알레르기군(D군)으로 나눈 다음 각각 8마리씩 배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본원 동물실험위원회의 동의를 거쳐 시행하였고 가능한 인도적인 방법으로 모든 동물 실험을 진행하였다. 

난알부민 감작을 이용한 기도 알레르기 유도, 비강 내 유발검사 
   난알부민(ovalbumin;chicken egg albumin grade V, Sigma Chemical Co. Phillipsberg, NY) 10 μg과 aluminum hydroxide {Al(OH)3} gel 1.5 mg을 0.5 ml 생리식염수에 혼합하여 난알부민 혼합액을 만들었다. 이 혼합액 0.1 ml를 실험시작일에 B, C, D군의 복강 내에 주사하고, 5일째와 21일째에 한 번씩 더 주사하여 전신감작을 유도하였다. A군에서는 혼합액 대신 동량의 phosphate buffered solution(PBS)을 복강 내에 주사하였다. 마지막 복강 내 주사 1주일 후, 즉, 실험 28일째부터 B, C, D군을 아크릴상자에 넣고 1 gm% 난알부민용액을 분무기(PulmoAide®, DeVillbiss, Somerset, PA)를 이용하여 1일 1회 20분씩 5일간 분무하여 국소감작을 유도하였다. A군은 난알부민용액 대신 PBS를 분무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기도 알레르기를 유도한 후 국소감작 종료 후 7일째에 PBS를 비공에 주입한 A군을 제외한 실험군의 비공에 난알부민 200 μg을 주입하여 유발검사를 시행하였다(Table 1).

IL-18 용액의 제작 및 투여
   Lyophilized recombinant mouse IL-18(R&D systems, Minneapolis, MN)에 100 μl 생리식염수를 혼합하여 IL-18 용액을 준비하였다. C군은 유발검사 24시간 전, 4시간 전, 그리고 유발검사 20시간 후에 IL-18 1 μg을 복강 내에 주사하였고 D군은 유발검사 4시간 전, 유발 직전, 그리고 유발검사 20시간 후에 IL-18 0.5 μg을 비강 내로 점적하였다(Table 1).3,6,15) A, B군은 IL-18 대신 PBS를 각각 비강 및 복강에 주입하였다.

기관지폐포세정액의 사이토카인 정량분석
  
유발검사 48시간 후 ketamine HCl(250 mg/kg)을 마우스 복강 내로 주사하여 마취하였다. 2
~3번째 기관륜 사이에 기관절개술을 실시한 후 25 gauge 정맥카테터를 기관절개구에 넣은 후 1ml PBS 용액을 천천히 주입하여 2회의 기관지폐포세정을 실시하였다. 평균 0.8 ml의 기관지폐포세정액을 수집하였고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청액은 사이토카인 측정 전까지 영하 70℃에서 보관하였다. 
   기관지폐포세정액 내의 IL-18, IL-4, IL-5, IFN-γ의 정량분석은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를 이용하였고 상용화되어 있는 BD OptEIATM ELISA set(BD Biosciences, San Diego, CA)를 사용하였다. 96-well ELISA plate에 0.1 ml carbonate coating buffer로 희석한 rat anti-mouse IL-18, IL-4, IL-5, IFN-γ antibody 용액을 넣은 후 4℃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완충액(0.1% Tween 20/PBS, pH7.2)으로 3회 반복하여 세척 후 assay diluent(10% FBS/PBS, pH 7.0)를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시 완충액으로 3회 세척 후 cytokine에 대한 표준용액과 기관지폐포세정액을 넣은 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배양하였다. 다시 7회 세척 후 기질 용액(substrate solution)을 넣은 다음 어두운 곳에 30분 동안 보관하였고, 그 후 중지용액(2N H2SO4)을 이용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microplate spectrophotometer(SPECTRA MAX Plus®,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조직학적 평가
  
기관지폐포세정 후 마우스를 희생시킨 다음 흉곽을 개방하고 양측 폐를 채취하여 4% paraformaldehyde 용액에 24시간 동안 고정하였다. 파라핀 포매 후 5 μm의 두께로 절편을 만들었다. H&E 염색 후 400 배율의 광학현미경 관찰하에 기관지주위조직의 호산구 침윤의 정도를 침윤이 없는 경우, 경도의 침윤, 중도의 침윤, 중증도의 침윤 및 고도의 침윤 등의 정도에 따라 각각 0, 1, 2, 3, 4로 구분하여 반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통계분석
  
통계학적 검증은 SPSS for window version 12.0(SPSS Inc., Chicago, IL)을 이용하였다. ELISA 측정값의 두 군간의 검정에는 Student's t-test를, 조직소견의 정량적 비교는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고 각기 유의수준 5%에서 검정하였다.

결     과

기관지폐포세정액 내의 사이토카인 정량분석
  
기관지폐포세정액 내의 IL-4 농도는 A, B, C, D군에서 각각 150.8±18.2 pg/ml, 163.5±20.5 pg/ml, 142.7±23.4 pg/ml, 135.1±13.9 pg/ml였다. B군은 A군보다 높은 농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지 않았다. C, D군은 A군 보다 낮은 농도를 보였으나 역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알레르기 양성대조군인 B군에 비해 비강 내로 IL-18을 투여한 D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농도를 보였다(p=0.016)(Fig. 1).
   기관지폐포세정액 내의 IL-5 농도는 A, B, C, D군에서 각각 166.4±20.2 pg/ml, 226.8±28.5 pg/ml, 204.8±24.6 pg/ml, 188.2±22.9 pg/ml였다. B군은 A군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p=0.004), D군은 B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농도를 보였다(p=0.01)(Fig. 2).
   기관지폐포세정액 내의 IFN-γ 농도는 A, B, C, D군에서 각각 620±109.6 pg/ml, 780±149.2 pg/ml, 703±123.8 pg/ml, 713±77.6 pg/ml였다. C, D군 모두 B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농도차이는 보이지 않았다(Fig. 3).
   기관지폐포세정액 내의 IL-18 농도는 A, B, C, D군에서 각각 20.2±5.2 pg/ml, 71.1±3.5 pg/ml, 141.7±6.5 pg/ml, 26.5±2.3 pg/ml였다. B군은 정상대조군인 A군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복강 내로 IL-18을 투여한 C군은 B군보다 유의한 증가를(p=0.001), 비강 내로 IL-18을 투여한 D군은 B군보다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05)(Fig. 4).

조직학적 검사
  
각 군의 평균 점수는 A군부터 D군 순으로 각각 0, 3, 1.37, 1.25점이었으며 C, D군 모두 B군보다 호산구의 침윤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p=0.001)(Fig. 5).

고     찰

   알레르기 비염이나 기관지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은 호산구, T 림프구, 비만세포와 같은 여러 염증세포와 이들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접착분자들이 관여된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1,2) IL-2, IFN-γ, TNF -β 등 Th1 사이토카인에 비해 IL-4, IL-5, IL-10과 같은 Th2 사이토카인의 상대적인 증가가 알레르기 질환에서 관찰되며, T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반응을 Th2 반응에서 Th1 반응으로 유도하여 알레르기 질환 특유의 호산구에 의한 염증 반응을 억제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어 왔다.3,4,5,6) 
   IL-18은 T세포에서 IFN-γ의 생성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으로 IL-1과 구조와 신호전달체계에서 유사성을 보이지만 그 기능면에서는 IL-1과는 확연히 다르다.8,9,10) IL-18은 주로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등에서 생성되며, 그 외에도 호흡상피세포, 진피세포 등 다양한 면역 혹은 비면역세포에서 생성되고 IL-12과 함께 Th1 반응을 자극하여 IFN-γ 생성을 통해 숙주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과잉생성 시 중증의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13,14) 하지만 IL-18은 알레르기반응과 IL-4, IL-10, IL-13과 같은 Th2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유도하는 기능도 있음이 밝혀졌다.8,9,10) 이외에도 IL-18은 TNF-α, GM-CSF 등의 생성을 유도하며, T세포와 NK세포에서 Fas ligand 발현을 증가시켜 이들의 세포독성을 증강시키며, cyclooxygenase 2, iNOS 등의 생성을 유도하는 기능도 보고되었다.11)
   실험적으로 유발된 알레르기 모델에서 IL-18의 다양한 면역학적 작용에 관하여 보고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ofstra 등3)은 난알부민의 복강 내 주입과 분무를 통하여 알레르기반응을 유발시킨 BALB/c 마우스에서 복강 내로 IL-12 혹은 IL-18 단독 투여군보다 IL-12와 IL-18을 동시 투여한 군에서 혈청 IgE의 농도, 호산구 침윤 정도, 기도과민성 및 기관지폐포세정액 내의 IL-4, IL-5의 농도가 현저히 낮아짐을 보고하였다. 또한 IFN-γ의 유의한 증가를 관찰하여 IL-12와 IL-18의 동시 투여가 Th2 반응을 억제하고 Th1 반응을 항진시킬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들의 실험에서 IL-18을 단독으로 복강 내로 투여한 경우 통계학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지만 양성 대조군에 비해 혈청 IgE의 농도의 감소, 기관지폐포세정액 내의 호산구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Komada 등16)은 난알부민의 복강내 주사와 분무를 통하여 알레르기반응을 유발시킨 IL-18 deficient C57BL/6 마우스 실험결과 유발단계에서 복강 내로 IL-18을 투여한 경우 기관지폐포세정액 내의 호산구의 침윤과 IL-4의 농도가 감소함을 관찰하여 IL-18가 Th2반응을 억제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의 결과는 저자들의 실험결과와 유사성을 보였다. Campbell 등6)은 바퀴벌레 항원을 이용한 CBA/J 마우스 알레르기 모델에서 IL-18을 유발단계에서 항원과 동시에 기관 내로 국소적으로 투여한 경우 eotaxin의 발현을 활성화시켜 호산구의 침윤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유발단계 1시간 전에 항 IL-18항체를 복강 내로 투여했을 때 폐조직의 호산구 침윤이 현저히 증가되어 IL-18의 국소적인 작용과 전신적인 작용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저자들의 실험에서 IL-18을 복강 내로 주입한 실험군과 비강 내로 주입한 실험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 기관지폐포세정액 내의 IL-4와 IL-5는 낮은 농도를 보였지만 비강 내로 IL-18을 주입한 실험군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IL-18을 투여한 실험군의 경우 폐조직의 호산구 침윤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것은 유발단계 전후로 투여한 IL-18이 Th2 반응을 억제하는 데 기인할 것이다. 또한 항원의 비강 내 점적을 통해 증상을 유발시킨 저자들의 실험에서처럼 항원의 노출경로와 같은 비강 내 IL-18의 투여는 비점막에서의 국소 면역반응을 통해 폐의 염증반응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실험에서는 비점막의 조직검사나 비세정액 내의 사이토카인 분석을 시행하지 않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Wild 등4)의 ragweed를 이용한 BALB/c 마우스 알레르기 모델 실험에서 감작 시에 IL-18을 투여한 경우에는 기관지폐포세정액 내의 호산구의 증가와 폐조직 내의 IFN-γ, IL-5의 농도가 증가하였고, 본 실험에서처럼 유발 시에 투여한 경우에는 기관지폐포세정액 내의 호산구가 감소하였다. 또한 naive 마우스에 항원과 IL-18을 폐 내로 투여한 경우 Th2 사이토카인 및 IgE의 증가, 호산구의 침윤, 기관지 내 점액의 증가 등이 관찰되어 알레르기의 감작을 유도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IL-18의 면역학적 기전에서의 양면성은 실험동물의 차이,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종류 및 유발방법의 차이, 그리고 투여한 IL-18의 농도, 투여 용량, 투여 시기 및 투여 방법, 실험 후 동물의 희생 시점의 차이 등 여러 가지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추정된다.4,10)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난알부민을 이용하여 BALB/c 마우스 기도 알레르기 모델을 제작한 후 유발단계 전후로 IL-18을 복강 및 비강에 투여하여 IL-18의 국소 및 전신 효과를 비교하였다. IL-18을 투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기관지폐포세정액 내의 IL-4, IL-5의 감소와 폐조직의 호산구 침윤 감소 등 Th2 반응이 감소하였다. 하지만 IL-18의 투여 용량, 투여 시기 그리고 투여 방법 등에 따라 면역학적 반응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그 기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Baraniuk JN. Pathogenesis of allergic rhinitis. J Allergy Clin Immunol 1997;99(2):S763-72.

  2. Baroody FM, Naclerio RM. Allergy and immunology of the upper airway. In: Cummings CW, Flint PW, Harker LA, Haughey BH, Richardson MA, Robbins KT, et al, editors.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4th ed. St.Louis, Mo: Elsevier Mosby Inc; 2005. p.299-308.

  3. Hofstra CL, Van Ark I, Hofman G, Kool M, Nijkamp FP, Van Oosterhaus AJ. Prevention of Th2-like responses by coadministration of IL-12 and IL-18 is associated with inhibition of antigen-induced airway hyperresponsiveness, eosinophilia and serum IgE levels. J Immunol 1998;161(9):5054-60.

  4. Wild JS, Sinounas A, Sur N, Siddiqui MS, Alam R, Kurimoto M, et al. INF-gamma-inducing factor (IL-18) increases allergic sensitization, serum IgE, Th2 cytokines, and airway eosinophilia in a mouse model of allergic asthma. J Immunol 2000;164(5):2701-10.

  5. Kips JC, Brusselle GJ, Joos GF, Peleman RA, Tavernier JH, Devos RR, et al. Interleukin-12 inhibits antigen-induced airway hyperresponsiveness in mic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6;153(2):535-9. 

  6. Campbell E, Kunkel SL, Strieter RM, Lukacs NW. Differential roles of IL-18 in allergic airway disease: Induction of eotaxin by resident cell populations exacerbates eosinophil accumulation. J Immunol 2000;164(2):1096-102.

  7. Okamura H, Tsutsi H, Komatsu T, Yutsudo M, Hakura A, Tanimoto T, et al. Cloning of a new cytokine that induces INF-gamma production by T cells. Nature 1995;378(6552):88-91. 

  8. Nakanishi K, Yoshimoto T, Tsutsui H, Okamura H. Interleukin-18 regulates both Th1 and Th2 responses. Ann Rev Immunol 2001;19:423-74.

  9. Kashiwamura S, Ueda H, Okamura H. Roles of interleukin-18 in tissue destruction and compensatory reactions. J Immunother 2002;25(suppl 1):S4-11.

  10. Nakanishi K, Yoshimoto T, Tsutsui H, Okamura H. Interleukin-18 is a unique cytokine that stimulates both Th1 and Th2 responses depending on its cytokine milieu. Cytokine Growth Factor Rev 2001;12(1):53-72.

  11. Dinarello CA. Interleukin-18. Method 1999;19(1):121-32.

  12. Prinz M, Hanisch UK. Murine microglial cells produce and respond to interleukin-18. J Neurochem 1999;72(5):2215-8.

  13. Cameron LA, Taha RA, Tsicopoulos A, Kurimoto M, Olivenstein R, Wallaert B, et al. Airway epithelium expresses interleukin-18. Eur Respir J 1999;14:553-9.

  14. Stoll S, Muller G, Kurimoto M, Saloga J, Tanimoto T, Yamauchi H, et al. Production of IL-18(INF-γ-inducing factor) messenger RNA and functional protein by murine keratinocytes. J Immunol 1997;159(1):298-302.

  15. Nakamura S, Otani T, Ijiri Y, Motoda R, Kurimoto M, Orita K. IFN-gamma-dependent and -independent mechanisms in adverse effects caused by concomitant administration of IL-18 and IL-12. J Immunol 2000;164(6):3330-6.

  16. Kodama T, Matsuyama T, Kuribayashi K, Nishioka Y, Sugita M, Akira S, et al. IL-18 deficiency selectively enhances allergen-induced eosinophilia in mice. J Allergy Clin Immunol 2000;105(1 pt 1):45-53.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