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신저자:이상준, 330-715 충남 천안시 안서동 산 16번지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교신저자:전화:(041) 550-3976 · 전송:(041) 556-1090 · E-mail:lsj72@dankook.ac.kr
서
론
유피낭종은 피막이 피지선, 한선, 모낭 및 모발 등의 피부부속기를 포함한 중층편평상피로 구성되어 있는 양성종양이다.1) 유피낭종은 대부분 선천성으로 태생기 상피세포 잔유물에서 발생하지만 외상 등으로 인하여 피부가 함입되어 후천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두경부에서 유피낭종이 호발하는 부위는 안와, 구강, 비강으로 전체의 80%를 차지한다.2) 이하선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전 세계적으로 7예가 보고되었고, 국내에는 1예만이 보고되었다.2,3,4,5) 이러한 희귀성 때문에 이하선의 경우 림프표피낭종(lymphoepithelial cyst) 등의 이하선 낭종 및 이하선 지방종, 지방육종 등과 감별이 어려울 수 있다.
저자는 15세 여자 환자의 우측 이하선에 발생한 유피낭종을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15세 여자 환자가 3년 전부터 서서히 커지는 우측 이하선의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력상 안면에 외상이나 수술의 병력은 없었다. 신체검진상 종괴의 크기는 3×3 cm 정도로 부드럽고 가동성이 있었으며 압통은 없었다. 피부표면과 외이도에 누공은 관찰되지 않았다. 경부전산화단층촬영상 우측 이하선 내부에 지방에 합당한 감쇄(fatty attenuation)을 보이는 3×2.7×3 cm의 종괴가 보였으며 주변과의 경계는 잘 유지되어 있었다. 조영증강은 되지 않았다(Fig. 1).
이하선의 지방종으로 생각하고 안면거상절개법(facelift incision)을 이용하여 종괴의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피부에 절개를 시행하였을 때 수술 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함입되어 있는 피부조직이 관찰되었고 피부에는 털이 나 있었으며 황색의 기름기가 있는 액체가 누출되었다. 더 안쪽으로 박리를 하였을 때 황색의 액체를 포함한 낭종이 관찰되었다. 종괴는 주변의 이하선 조직과는 유착이 없이 잘 박리되었으며 낭종을 터트리지 않고 제거할 수 있었다(Fig. 2). 술 후 안면마비는 없었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낭종의 피막은 중층편평상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피지선과 모낭을 포함하고 있었다. 일부 피막은 염증반응으로 인하여 중층편평상피가 탈락되고 거대세포로 대치된 소견을 보였으며 이하선 조직의 일부도 관찰되었다(Fig. 3). 외래 추적관찰상 술 후 3개월까지 재발소견은 없었다.
고 찰
유피낭종은 기형종의 일종으로 Arnold에 의해 기술되었으며 외배엽과 중배엽으로 이루어져 있다.1) 유피낭종은 모낭, 한선 등의 피부부속기를 포함하고 있어 상피세포만으로 이루어진 표피포함낭(epidermal inclusion cyst)과는 구별된다. 유피낭종의 발생기전으로는 세 가지 설이 있는데 첫째, 두 가지 이상의 배엽층(germ layer)으로 부터 유래한 분화전능(totipotent)의 잔류세포가 해부학적으로 고립되어 형성된다는 설, 둘째, 외상에 의해 표피와 진피가 합입되어 이소성 유피낭종이 발생한다는 설, 마지막으로 배아가 성장하고 융합하는 과정에서 일부 배엽층이 더 깊은 층으로 함입되어 형성된다는 설이다.6) 고환에 생기는 유피낭종이 첫 번째 부류에 해당되며 안와주위나 비강의 유피낭종은 안면골의 융합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세번째 부류에 해당된다. 악하부나 구강저에 발생하는 유피낭종 역시 새궁(branchial arch)의 융합 시 함입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세 번째 부류에 해당된다. 이하선에 발생하는 유피낭종은 위에 기술한 어떤 것에도 정확히 해당되지는 않으나 세 번째 부류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4)
유피낭종의 호발부위는 천골(45%), 난소(42%)이며 두경부에서 발생하는 유피낭종은 전체 유피낭종의 7% 정도를 차지한다.3) 두경부에서는 안와가 49.5%로 가장 흔한 발생부위이며 비부위가 12.6%, 구강저나 하악부위가 23%를 차지한다.2) 국내에서도 역시 안와를 제외하면 구강저나 하악부위의 유피낭종에 관한 보고가 가장 많다. 한이인지 검색결과 Suh 등이 구강저의 유피낭종에 대해 처음 보고한 이래 총 9개의 논문에서 12예의 구강저 유피낭종에 대한 증례보고가 있으며 다음으로는 비부위가 3예, 기타 두경부로는 후이개부위가 2예, 연구개가 1예 있었다.7,8,9,10,11,12) 이하선 유피낭종의 경우는 매우 드물어 전 세계적으로 7예가 보고되었으며 국내에서는 Choi 등이 1예를 보고하였다.2,3,4,5)
술 전 영상학적 검사로는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초음파가 시행될 수 있다. 전산화단층촬영이나 자기공명영상은 낭종의 정확한 범위와 주변조직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좋으며 초음파는 종괴가 고형인지 낭성인지 혈관병변인지 구별하는 데 용이하다.13) 그렇지만 낭종 내부 물질의 성상에 따라 다양하게 보일 수 있어 유피낭종에 특징적인 영상소견은 없다. 비록 소수지만 유피낭종의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은 지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처럼 보여 지방종이나 지방육종으로 오진이 되는 경향이 있다.14) 본 증례의 경우에도 지방의 감쇄소견을 보여 술 전에 지방종으로 오인되었다. 세침흡입검사상 드물게 유핵 상피세포가 보이면서 다수의 무핵상피세포와 각질소견이 보이면 유피낭종으로 의심할 수 있다.3) 본 증례의 경우는 전산화단층소견상 지방종이 확실하다고 판단하고 세침흡입검사를 시행하지는 않았다.
유피낭종은 대부분 주변조직과 유착이 없이 쉽게 박리되나 하악골이나 유양골과 근접한 경우에는 심부의 조직과 유착되어 있을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1) 수술 시 종괴를 완전 적출하여야 하며 불완전 적출 시 재발의 가능성이 높다.2) 이하선 유피낭종의 수술범위에 있어서는 이전 7예 중 6예에서 이하선천엽절제술이 필요하였으며 1예에서만 단순적출이 시행되었다.2,3,4,5) 전 예에서 재발은 없었다. 본 증례에서는 비교적 경계가 좋고 주변과 유착이 없어 단순적출로 쉽게 제거되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안면신경이 유피낭종의 피막과 유착되어 있거나 근접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선천엽절제술이 시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REFERENCES
-
Sobol SM, Bailey SB. Evaluation and surgical management of tumors of the neck: Benign tumors. In: Thawley SE, Panje WR, Batsakis JG, Lindberg RD, editors. Comprehensive management of head and neck tumors.
2nd ed. Philadelphia: W.B. Saunders;1999. p.1431-4.
-
Naujoks C, Handschel J, Braunstein S, Emaetig F, Depprich R, Meyer U, et al. Dermoid cyst of the parotid gland-a case report and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7;36(9):861-3.
-
Baschinsky D, Hameed A, Keyhani-Rofagha S. Fine-needle aspiration cytological features of dermoid cyst of the parotid gland: A report of two cases. Diagn Cytopathol 1999;20(6):387-8.
-
Choi EC, Jin JB, Kim JY, Hong WP, Kim MJ, Park YK. Dermoid cyst of the parotid gland. Yonsei Med J 1988;29(2):199-203.
-
Moody AB, Avery CM, Harrison JD. Dermoid cyst of the parotid gland.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98;27(6):461-2.
-
New GB, Erich JB. Dermoid cysts of the head and neck. Surg Gynecol Obstet 1937;65:48.
-
Suh KW. Dermoid cyst of the floor of the mouth.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67;10(3):53-4.
-
Chung K, Kim HD, Oh WH, Cho JH. A case of multiple dermoid cyst of the floor of the mouth.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0;43(4):447-9.
-
Park JH, Shin JM, Lee JD, Koh YW. Two cases of dermoid cyst of mouth floor.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4;47(4):376-9.
-
Kim DS, Lee SK, Song TH, Koh ES. A case of nasal dermoid sinus cyst.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0;43(8):891-4.
-
Moon IH, Lee WH, Joo JB, Cho JE. A case of postauricular dermoid cyst.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5;48(10):1294-6.
-
Park JR, Lee BD, Yang HC, Oh CH. A case of dermoid cyst of the soft palate.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87;30(6):996-9.
-
Thomas MR, Nofal F, Cave AP. Dermoid cyst in the mouth: value of ultrasound. J Laryngol Otol 1990;104(2):141-2.
-
Hunter TB, Paplanus SH, Chernin MM, Coulthard SW.
Dermoid cyst of the floor of the mouth: CT appearance. AJR Am J Roentgenol 1983;141(6):1239-40.
|